한국학생복산업협회 "무상교복 지원 방식의 올바른 기준 필요"

경기도의회의 ‘무상교복’ 지급 방식으로 현물 지급이 확실시 되고 있다. 현물지급 방식은 해당 학교가 납품업체를 선정하고 선정된 납품업체가 해당 학교 신입생에게 교복을 납품하고 이에 대한 교복비를 학교에서 지급받는 방식이다.

이에 대해 사단법인 한국학생복산업협회(회장 이종철) 유낙열 전무는 “납품업체의 입장에서는 해당 학교의 정확한 신입생 수, 신입생의 신체 사이즈를 알아야 납품이 가능하게 된다. 신입생 한 명에 교복 한 벌로 교복비를 책정된다”며 “신입생 수가 확정이 되는 것이 아무리 빨라야 배정이 끝나는 1월을 감안했을 때, 신입생들의 교복 체촌(體寸)을 1월 이후에 할 수밖에 없기에 입학식에 맞춘 교복 생산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는 입장을 전했다.

현재 교복 생산에는 최소 3개월 정도 소요되는데, 학기 초인 2월 중 제촌을 실시하면 교복을 입을 수 있는 것은 5월 이후가 된다.

또한 교복의 AS, 신체 변화에 따른 추가 구매, 전학생의 교복 구매 등을 최초 무상교복 지급 이후 발생할 수 있는 요인으로 살펴볼 수 있다. 기존에는 생산에 따른 여유분이 있어 신규 구입이 가능했다. 교복을 현물로 지급한다면 해당 학교 교복 납품업체를 제외하고는 생산이 이뤄지지 않는다. 신입생 수를 초과하여 생산을 하지 않을 경우 여유분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는 의견이다.

유낙열 전무는 “이는 교복의 생산, 소비과정에 대한 고민 없이 보기에 좋아 보일 수 있는 정책을 추진하기 때문에 생기는 문제”라며 “학생이 교복을 입지 못하게 되거나 추가로 교복이 필요할 때 구매하지 못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전자신문인터넷 조항준 기자 (jhj@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