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라인]BMW 한 달...객관적 원인 규명이 없다

BMW 차량 화재 사태가 불거진 지 한 달이 지났다.

이낙연 총리가 “할 수 있는 조치는 다해야 한다”며 진화에 나섰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현장에 직접 뛰어갔고, 대책 담화문을 세 차례나 발표했다. BMW도 김효준 한국법인 회장은 물론 본사 책임자까지 참석, 대국민 사과를 하고 머리를 숙였다.

한 달이 지난 현재 긴급 안전진단을 받지 않은 차량에는 운행 제한이 이뤄졌다. BMW가 분석한 원인에 맞춰 리콜도 시작됐다.

Photo Image

그러나 바뀐 건 많지 않다. 정확한 사고 원인 파악, BMW의 보상 여부, 정부의 추가 안전대책 등에서 명쾌한 진전이 없다. 문제 본질에서 벗어난 이야기가 주를 이룬다.

대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원인 규명이다. 그러나 우리 정부는 사고 차량 자체를 확보하지 못했다. 현재 사고 차량은 모두 BMW에 있다. 국토부와 교통안전연구원(KATRI)은 사고 원인으로 지목된 배기가스재순환장치(EGR)만 8개 제출받았을 뿐이다. 객관적이고 정확한 사고 원인을 파악하기엔 시작부터 부족하다.

김현미 장관은 최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에 출석해 “BMW에서 아직 충분한 자료를 제출하지 않았다”면서 “자체 조사로 제출받지 못한 부분까지 대응하겠다”고 답변했다.

국토부는 당초 10개월 걸릴 것이라던 화재 원인 규명을 연내에 완료한다고 밝혔다. 사고 차량 확보 없이 연말까지 정확한 결과를 내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는 게 전문가들 중론이다.

지금까지 드러난 사고 원인은 BMW가 발표한 내용에서 한 치도 벗어나지 못했다. 억울할 수도 있겠지만 BMW는 사고 원인을 부품 하나로 한정시키고 사태가 조용해지길 기다리고 있다는 의심을 받고 있다.

BMW코리아는 이미 2년 전부터 문제를 인지한 것으로 확인됐다. 독일 본사에 수차례 보고도 했지만 사전 조치는 취하지 않은 전력도 있다. 정부와 소비자단체는 지금도 BMW가 정부 요청이나 차 소유주에게도 충분한 설명이 없다며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BMW는 지난 20일부터 리콜을 시작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첫걸음이다. BMW 사이트엔 공공연히 '자발적' 리콜이라고 표기했다.

Photo Image

그러나 객관적인 원인 규명도 없는 가운데 이뤄진 리콜이 정답에 가까울지는 모르겠다. BMW가 문제 대상으로 꼽지 않은 차종과 인증을 받은 차량 가운데에서도 화재가 발생한 차량이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리콜 대상 가운데 일부는 국내에 부품이 없어서 안 돼도 2개월 이후에나 조치가 가능한 실정이다.

국토부는 좀 더 정밀한 잣대와 기준으로 BMW와 이야기하고 압박해야 한다. '세세한 기술은 모른다. 우리는 행정 조직이지 기술 조직이 아니다'라는 인식을 하고 있다면 잘못돼도 한참 잘못됐다.

업계에선 화재 원인으로 EGR 외에 소프트웨어 오류나 조작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당사자인 BMW 외에 이를 확인할 수 있는 유일한 주체는 정부뿐이다. 국토부가 더 적극 나서야 한다.

BMW는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 최근 수년간 외산차 판매 1, 2위를 다퉜다. 반복된 화재 사고로 비즈니스에서 일정 부분 흠집이 나는 것은 불가피할 수 있다. 그래도 핵심은 진정성이다. 후속 대응에 따라 향후 브랜드 가치가 크게 달라질 것임을 알아야 한다.


김승규 전자자동차산업부 데스크 seung@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