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직장인 평균 월급이 223만원이다. 지역별로는 주요 기업 본사가 밀집한 서울 광화문 일대가 가장 많았다.
자영업자 수입은 서울 강남 지역이 가장 많았다. 특히 성형외과 등이 밀집한 논현동 일대 의료업종은 2000만원에 육박했다.
신한은행이 18일 빅데이터를 활용해 만든 '서울시 생활금융지도'를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한 생활금융지도는 서울시의 '소득'편으로 신한은행이 전국의 주요 지역별 생활금융지도를 만드는 대규모 빅데이터 프로젝트에 착수해 만들어낸 첫 번째 결과물이다.
지난해 12월 기준 자택 또는 직장 주소가 서울시로 등록된 고객 155만명의 자료를 토대로 제작됐다. 대상은 급여소득자 128만명, 자영업자 11만명, 연금수급자 16만명이다.
서울 직장인 월급은 중앙값 기준 223만원이다.
지역별로 종로구가 355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서울시의 1.59배다.
주요 기업 본사가 종로구에 밀집한 영향으로 추정된다. SK본사가 있는 서린동(574만원)과 공평동(512만원), 세종로(376만원)가 급여 수준이 높았다. 중구(325만원), 영등포구(320만원), 서초구(312만원) 등이 뒤를 이었다.
서울시 전문직 급여는 377만원으로, 일반 사무직 월급 299만원보다 높았다. 전문직은 강서구(614만원), 서초구(507만원), 강남구(449만원)가, 일반 사무직은 종로구(373만원), 강서구(337만원), 서초구(332만원)가 높았다.
연령대별로 사회초년생에 해당하는 26∼30세가 월 195만원, 31∼35세는 256만원, 36∼40세 287만원, 41∼45세 327만원 등으로 평균 19%씩 많아졌다. 하지만 46∼50세의 평균 월급은 322만원으로 오히려 41∼45세보다 낮았다.
대기업은 348만원, 외부감사를 받는 중소기업은 279만원, 비외감 중소기업은 220만원이었다. 대기업은 50세까지 급여가 꾸준히 증가하지만, 중소기업은 40대 초·중반에서 최고 수준을 보였다. 중소기업은 40대 후반부터 퇴직이나 이직이 시작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카드 가맹점 매출액 기준으로 지난해 서울 자영업자 월소득은 172만원이다. 강남구는 298만원으로 서울시 전체의 1.74배에 달했다. 신사동이 389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자곡동(375만원), 대치동(322만원)이 뒤를 이었다.
서울시 국민연금 수급자들의 연금 소득은 월 34만원 수준이다. 연금 소득이 가장 높은 지역은 강남·서초구로 46만원이다. 이 가운데 강남구 도곡동(57만원), 청담동(52만원), 송파구 잠실동(48만원)이 높게 집계됐다.
신한은행은 서울시 생활금융지도의 '소비'편과 '저축'편을 각각 5, 6월에 공개하고 분석자료를 모두 종합해 시사점을 도출한 보고서를 7월경 추가로 공개할 예정이다. 또 지자체들과 협업해 경제·복지 등의 정책 수립에 도움이 되는 지역별 생활금융지도 데이터를 제공할 계획이다.
김철기 신한은행 빅데이터센터 본부장은 “방대한 금융 데이터를 분석해 복지 사각지대를 없애고 정책 수립에 중요한 인사이트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길재식 금융산업 전문기자 osolgi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