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이승규 한국바이오협회 부회장 "R&D 자산 가치, 가이드라인 제시 필요"

Photo Image
이승규 한국바이오협회 부회장

“차바이오텍 사례는 회계 투명성을 강화하는 데 의미 있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단 바이오산업 특수성을 고려할 때 연구개발(R&D)비를 자산으로 판단할 가이드라인이 필요합니다.”

이승규 한국바이오협회 부회장은 연구개발비 자산처리 논란을 낳은 차바이오텍 사례가 업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했다. '영업이익 뻥튀기' 논란을 해소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는 기대다. 바이오산업 전체를 거품으로 인식하기보다는 포괄적 가이드라인 마련으로 혼란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부회장은 “바이오기업 연구개발비를 자산 혹은 비용으로 바라보는 것은 회계사 판단에 따라 대부분 정해진다”면서 “바이오산업 특수성을 고려한 기준이 부재한 상황에서 회계기준만 따르다 보니 논란이 발생한다”고 말했다.

연구개발 단계에 따라 자산 여부 규정을 제안한다. 시장, 기술 등 고려 대상이 많지만, 상업화 가능 수준인 임상시험 단계가 합리적 기준이다. 그는 “일반적으로 임상2b상에 진입하면 상업화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다”면서 “이 단계에서는 약물이 독성이나 부작용이 없다는 과학적 결론에 도달했기에 자산으로 인식해도 될 것”이라고 전했다.

신약개발은 동물실험으로 진행되는 전임상과 임상1·2·3상 시험을 거친다. 이 중 임상2상 시험은 다시 임상2a상, 임상2b상으로 나뉜다. 임상2a상에서는 약효 확인과 작용 시간, 유효 용량 등을 찾는다. 약효 증거를 찾는 게 핵심이다. 임상2b상은 허가 핵심이 되는 단계다. 약효 입증과 용량, 반응양상 검토해 최적 용량과 용법을 결정한다. 통상 임상2b에 진입하면 약물 개념검증은 마쳤다고 판단한다.

이 부회장은 “업계와 전문가 의견을 취합할 때 임상2b상부터는 비용으로 인식되는 R&D가 아니라 상품가치로써 자산으로 인식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면서 “정부에서 이런 의견을 반영해 포괄적 가이드라인을 마련해주면 바이오업계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내 바이오 붐은 거세다. 2016년 기준 바이오 중소·벤처 창업 수는 역대 최대치 443개에 달했다. 같은 해 바이오헬스 벤처 투자규모도 4686억원으로 전년(3170억원)대비 50% 늘었다.

돈과 인력이 몰리면서 '거품' 논란도 꾸준히 제기된다. 회사 외연 확장을 위한 '영업이익 부풀리기' 논란도 이중 하나다. 금융감독원이 바이오·제약사 10곳을 대상으로 회계감리에 나섰다. 이 부회장은 이번 계기로 바이오 업계 회계 투명성 강화와 경영 혁신을 추구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바이오 기업은 연구개발비 처리에 투명성을 강화하는 한편 내부적으로 신약후보물질을 정리할 것”이라면서 “철저히 시장성을 고려해 의미 없는 신약후보물질은 정리하고, 인수합병(M&A)등에 적극 나서 산업계가 한 단계 도약할 기회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전자신문 CIOBIZ] 정용철 의료/바이오 전문기자 jungyc@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