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 영업활동 못하는 한계기업…부동산·건설업에 집중

Photo Image

경기불황에 업황 부진까지 겹치면서 부동산과 건설업에 국내 한계기업이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상당수가 많은 부채를 가지고 있어 향후 기준금리 인상이 이어지면 이자상환 부담이 클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2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8년 3월 금융안정 상황'에 따르면 3년 연속 이자보상비율 100% 미만인 한계기업은 2016년 말 3126개로 분석됐다. 이는 전체 외부감사대상 비금융법인 기업(외감기업)의 14.2%에 달한다.

한계기업은 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이자보상비율이 3년 연속 100% 미만인 기업을 말한다. 즉, 정상적인 영업활동으로 이자상환이 어려운 회사들이다.

한계기업은 늘어나는 추세다. 2016년에 152개 감소했지만, 폐업으로 제외된 기업이 크게 증가한 것을 감안하면 2010년 이후 증가세가 지속하고 있다.

업종별로는 국내 한계기업 3126개 중에서 부동산·건설업의 한계기업이 835개로 26.7%를 차지했다. 이는 다른 업종과 비교하면 매우 높은 비중이다. 이들 업종의 2년 이상 연속 한계기업 중 7년 연속 한계기업 비중은 28.9%로 나타냈다.

신운 한은 금융안정국장은 "부동산·건설기업을 상당수가 2012~2014년 업황이 좋지 않을 때 한계기업으로 많이 전환됐다"고 설명했다.

반면 4대 취약업종(철강·조선·해운·석유화학)은 그동안 구조조정 영향 등으로 11.1%, 폐업률이 높은 도소매·음식·숙박업은 12.2% 각각 한계기업 비중을 차지했다.

한은은 향후 기준금리 인상이 이어지면 상당수의 한계기업이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들 기업이 많은 부채를 가지고 있어 부실 심화 가능성이 높다는 이유다. 또 정부가 강도 높은 부동산 대책을 내놓으면서 부동산·건설업의 업황도 좋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신 국장은 "한계기업의 상당수가 많은 부채를 가지고 있어 향후 국내 기준금리 인상이 발생하면 관련 기업 상환부담이 늘어나게 된다"며 "이런 부분을 어떻게 할지 정부와 한은이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윤호기자 yuno@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