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항암 면역 유전자 역할 규명…폐암 억제 효과 입증

국내 연구진이 식물의 자기 방어 물질과 유사한 인간 단백질을 표적으로 새로운 항암 면역 치료법을 제시했다.

최제민 한양대 교수팀은 T세포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Chi3l1' 유전자 기능을 규명하고, 이를 표적으로 하는 항암 면역 치료 물질을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Photo Image
펩타이드-siRNA 중합체 투여에 의한 암의 폐 전이 억제 효과

항암 면역 치료는 암에 맞선 인체 스스로의 면역 능력을 높이는 치료법이다. 항암제가 암 세포의 직접 사멸을 목표로 하는 것과 다르다. 항암 면역 치료는 항암제 부작용, 암 재발을 최소화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연구팀은 식물이 병충해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1차 방어물질 '키틴 분해 효소'에 주목했다. 우리 몸에 유전적으로 보존된 유사 단백질(Chi3l1)이 면역 체계에서 갖는 역할을 연구했다.

Chi3l1이 키틴 분해 능력은 잃었지만, 암에 대한 T세포의 면역 반응을 조절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Chi3l1 유전자가 결핍된 T세포는 Th1 세포와 세포독성 림프구(CTL)로의 분화가 증가한다. 분화 후 인터페론감마(IFNγ) 발현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면역 반응이 나타난다.

연구팀은 Chi3l1 유전자에 결합해 단백질 발현을 억제하는 표적 치료물질까지 개발했다. 흑색종 암이 폐로 전이되는 쥐를 대상으로 실험했다. 암 세포의 폐 전이를 크게 억제해 효능을 입증했다.

Photo Image
최제민 한양대 교수

최제민 교수는 “진화적으로 보존된 키틴분해효소 유사 단백질에 면역조절 기능이 있음을 규명하고, 이를 표적으로 한 항암면역치료제 개발의 가능성을 확인했다”면서 “다른 생물종의 1차적 방어물질이 우리 면역체계에서 갖는 역할을 규명하는 후속연구가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실렸다. 교육부·한국연구재단 일반연구자지원사업,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으로 수행됐다.


송준영기자 songjy@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