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R&D 빅데이터+AI, 신약 개발에 투입

정부가 국가 연구개발(R&D) 사업 과정에서 축적한 화합물 데이터 50만 건을 신약 개발사에 개방한다. 빅데이터, 인공지능(AI) 활용으로 신약 후보 물질 발굴 기간을 기존의 20%까지 단축한다.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신약 개발 시간·비용을 줄이기 위한 'AI+빅데이터 활용 차세대 신약 개발 플랫폼'을 구축한다고 4일 밝혔다. 지난해 발표한 '바이오경제 혁신전략 2025', 올해 초 발표한 '연구데이터 공유·활용 전략' 일환이다.

신약 개발 단계는 후보물질 발굴, 전임상 시험, 임상 시험, 시판으로 나뉜다. 과기정통부가 주목한 것은 후보물질 발굴 단계다. 별도 법령 제·개정 없이 가이드라인만으로 기존 연구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신약 후보물질 발굴에 사용할 연구 데이터는 국가 R&D 사업 과정에서 약 50만 건이 축적됐다. 한국화학연구원이 연구성과 관리·유통 제도에 따라 화합물 데이터를 관리한다.

정부는 이 달 사업공고를 내고 상반기 중 화학연구원을 중심으로 AI 전문기업·연구소, 신약개발 연구자가 참여하는 컨소시엄을 구성한다. 컨소시엄이 신약 개발 플랫폼을 개발한다. 개발된 플랫폼은 AI 학습, 연구자 검증을 거친 뒤 내년 공개한다.

과기정통부는 플랫폼을 활용하면 평균 5년이 소요되던 후보물질 개발 기간을 1년까지 단축할 것으로 기대했다.

향후 신약 개발 전 단계에 유사한 플랫폼을 구축한다는 목표다. 병원 진료 정보 등 의료 데이터는 임상, 시판 단계에 유용하다. 최적 환자군을 제시하고 부작용을 줄인다.

Photo Image
신약 개발 단계 별 AI, 빅데이터 활용 방안(자료 : 과기정통부)

과기정통부는 상반기 중 관계 부처와 함께 '국가 AI 활용 신약개발 전략'을 마련해 4차산업혁명위원회 헬스케어특별위원회에서 발표할 계획이다.

정병선 과기정통부 연구개발정책실장은 “제약 산업 후발 주자인 우리나라가 글로벌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인프라인 인공지능·빅데이터 활용이 필수”라면서 “관계부처와 협업하여 국가 차원 신약 개발 역량 제고를 위해 전폭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송준영기자 songjy@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