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디스플레이 국가 연구개발(R&D) 신규 과제 예산이 15억원 수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116억원보다 80% 가까이 급감, 차세대 디스플레이 R&D가 크게 위축될 것으로 우려된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현재 국회에 계류된 2018년도 디스플레이 R&D 신규 사업 예산은 15억원 수준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은 새로운 융·복합 디스플레이 기획 과제 7건을 기획, 제안했다. 산·학·연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이 가운데 국회 심의를 거쳐 과제 2~3건이 최종 선정될 예정이다. 최종 국회 심사가 남았지만 보통 예산이 늘어나는 경우가 드문 것을 감안하면 내년도 신규 R&D 사업 예산은 급감할 것으로 예상된다.
내년도 예산이 줄어든 이유는 올해 새로 시작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와 차세대 디스플레이 부문의 신규 사업 예산을 이전 사례와 같이 잡아 2021년까지 총 300억원으로 책정했기 때문이다. 기존의 계속사업인 전자정보디바이스 산업 원천 기술 개발 사업은 지난해부터 일몰제를 적용받아 후속 과제를 운용할 수 없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일몰제 적용 시기를 연장해 달라는 검토 의견을 기획재정부에 제출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에 따라 지난해부터 전자정보디바이스 사업에 일몰제가 적용, 신규 사업 없이 기존 과제만 유지하며 순차 종료될 것으로 보인다.
KEIT가 기획한 내년 신규 과제는 △광 위상 변조를 이용한 다초점 마이크로디스플레이 패널 기술개발(정부출연금 4년 동안 40억원) △고투과도의 투명 플라스틱 디스플레이용 정맥 보안 소자 핵심 원천 기술 개발(5년 동안 50억원) △증강현실(AR)·혼합현실(MR) 디바이스용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기반의 고휘도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패널 및 모듈 기술 개발(5년 동안 47억원) 사업을 포함해 총 7건이다. 4∼5년 동안 180억원으로, 매년 소규모의 예산이 투입된다.
업계는 신규 디스플레이 R&D 국책 과제가 다시 크게 줄자 우려를 나타내고 중소·중견기업을 위한 인력 양성과 기술 개발 지원 효과를 지속하기 어렵다고 토로했다. 정부 R&D 과제에 기업, 대학, 연구소 등의 인력이 참여하면 전문 인력 배출 효과가 있다. 특히 대기업보다 전문가를 교육·양성하는 체계가 미흡한 중소기업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국책 R&D 과제는 미래 기술을 개발할 인력과 비용 여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에 새로운 성장 기회를 제공하는 효과도 크다.
그러나 과제 운용 기간이 3~5년 주기여서 매년 종료하는 과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신규 과제를 기획해야 전체 R&D 규모를 유지할 수 있다. 신규 과제가 줄어들면 이 분야의 인력 양성도 어려워진다. 중소기업이 대기업 협력사 지원 정책에 더 의존할 수밖에 없게 된다.
산업부는 이 때문에 차세대 디스플레이 산업으로 떠오른 OLED 관련 대규모 예비타당성 사업을 기획하고 있다. 그러나 예산 당국이 디스플레이 R&D 예산을 계속 삭감하는 현실을 감안할 때 실현 가능성은 낮다는 관측도 나온다.
한 관계자는 “기존 사업이 종료해서 줄어드는 예산을 감안하면 디스플레이 국책 사업 비중이 점점 줄어드는 모습”이라면서 “이 분야의 전문 인력을 양성해 중소·중견기업 인력난을 완화하는 국책 과제 역할까지 축소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산업부 디스플레이 R&D 국책 사업은 2016년 11억원으로 크게 줄어든 뒤 2017년 116억원으로 다시 반등한 바 있다.
배옥진 디스플레이 전문기자 witho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