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초대형IB 시대 5개 대형 증권사 강약점은

올 여름 초대형 투자은행(IB) 경쟁이 본격화된다. 하반기부터 자기자본 4조원 이상 증권사는 만기 1년 이내 어음 발행, 중개 등 단기 금융 업무까지 할 수 있게 된다.

현재 IB의 수익원은 별 차이가 없다. 미래에셋대우, NH투자증권, 삼성증권, 한국투자증권, KB증권 5개 대형 증권사는 저마다 차별화한 투자금융(IB)과 자산관리(WM) 서비스 확대를 주요 목표로 내걸고 있다. 당분간 신규 업무보다 기존 업무를 강화, 시장 지배력을 확고히 하는 방향으로 시장이 흘러갈 것이라는 분석이 대다수다.

인수합병(M&A)과 유상증자 등으로 몸집을 키운 대형 증권사들의 주요 부문별 경쟁 현황을 들여다본다.

◇금리 급등 채권손실 부담 덜었다…신규 서비스 `암중모색`

지난 1일 미래에셋대우는 지난해 실적을 발표했다. 간신히 적자를 면했다. 3000억원이 넘는 합병 비용 때문이다. 합병 비용을 제외한 지난해 단순 경상이익은 3244억원을 기록했다. 합병 비용을 감안하더라도 옛 미래에셋증권과 미래에셋대우의 3분기 누적 세전이익 합(3755억원)보다 적었을 만큼 지난해 4분기는 극도로 부진했다.

금융투자 업계에서는 증권사 대부분이 마찬가지일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금리 급등에 따른 대규모 채권 평가손실 때문이다. NICE신용평가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국내 증권업계 채권평가손실은 약 3000억원 규모로 추산된다. 실적 부진은 채권보유액이 많은 대형 증권사 모두 마찬가지로 겪는 문제다.

업계에서는 4분기 실적보다 앞으로가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 장효선 삼성증권 연구원은 “거래대금 급감, 주가연계증권(ELS) 관련 헤징 손실, 대형사 유상증자, 금리 급등에 따른 평가 손실 등 최악인 업황이 바닥을 찍었다”면서 “초대형사로서 사업 모델의 차별 구축이 필수”라고 진단했다.

◇미래에셋대우, KB증권…`합병 후유증 넘어라`

미래에셋대우는 미래에셋증권 흡수 합병으로 국내 최상위권 규모로 올라섰다. 자기자본 규모는 6조6603억원. 업계 2위인 NH투자증권의 자기자본 4조6396억원보다 2조원이 많다.

미래에셋대우의 최대 강점은 미래에셋자산운용 등 계열사와 연계한 자산관리 부문이다. NICE신용평가에 따르면 합병 전 미래에셋증권 자산관리 부문 시장 점유율만 15.9%에 달했다. 미래에셋대우를 합치면 두 회사 시장 점유율은 23.2%다. 자산관리 점유율 2~3위인 한국투자증권(12.9%), 삼성증권(12.7%)의 갑절에 육박한다.

위탁매매(브로커리지) 역시 다른 대형사를 압도한다. 두 회사 수수료 기준 위탁매매 점유율은 10.1%(2016년 9월 기준)다. NH투자증권(8.2%), KB증권(8.0%), 삼성증권(7.8%)보다 우위를 점하고 있다.

다만 단기간 빠른 성장으로 인한 투자 공세 성향과 합병으로 인한 후유증 극복은 미래에셋대우가 넘어야 할 과제다. 인건비 등 고정 비용 감축 등도 해결해야 한다는 평가다. 원재용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유일무이한 1등 증권사”라면서 “올해 합병 과도기를 어떻게 넘어서느냐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합병 후유증은 연초에 합병을 마친 KB증권도 풀어야 할 숙제다. KB증권은 앞으로 1년 동안 윤경은 사장과 전병조 사장 각자 대표 체제로 운영한다. 업계에서는 “색깔이 다른 두 조직을 빠르게 자리 잡게 하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보고 있다.

현대증권은 90여개 지점망을 바탕으로 위탁매매와 부동산 투자금융 등에 강점이 있고, 옛 KB투자증권은 회사채 인수를 중심으로 투자금융(IB) 부문에 경쟁력이 있는 회사다.

합병 후유증을 무리 없이 극복하면 시너지가 많아진다. 현대증권은 합병으로 과거 현대그룹 관계사에 직·간접 자금 지원 부담이 사라지고, KB금융그룹 영업망을 활용할 수 있다.

다만 프로젝트파이낸싱(PF) 개발 사업 등으로 인한 우발 채무가 부담이다. 지난해 3분기 기준 우발 채무 규모는 2조7565억원, 자기자본의 69.2%에 이른다.

◇NH·삼성·한투…4조원대 대형사 각축전

2014년 말 합병을 마친 NH투자증권은 대형 증권사 가운데 가장 안정된 행보를 보이고 있다. 위탁매매, IB, 자산관리 등 주요 부문의 시장 점유율이 각각 8.2%, 6.5%, 5.6%로 업계 최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실제로 NH투자증권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전년 대비 10.3% 늘었다. 회사 측은 “상품 종류 및 거래 구조 다양화로 파생상품 거래 규모가 늘었고, IB 업무 관련 인수 주선 수수료 등이 증가한 것이 원인”이라고 밝혔다.

늘어난 우발 채무 규모는 NH투자증권에도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2013년 말 3000억원 수준이던 우발 채무는 지난해 9월 말 기준 2조7285억원으로 자기자본의 59.5%까지 늘었다. 증권업계 평균(51.8%)을 웃도는 수준이다.

최근 유상증자와 자사주 매각 등으로 자기자본을 4조원까지 끌어올린 삼성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은 강점인 자산관리 부문을 중심으로 경쟁 우위를 다질 전망이다. 두 회사 모두 자산관리 부문에서 10%가 넘는 시장 점유율을 차지한다.

한국투자증권은 한국투자신탁운용,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 등 계열 자산운용사 인지도에 기반을 둔 펀드 판매가 강점이다. IB 부문의 수익도 매분기 20억원을 넘기며 여타 증권사를 압도한다. 삼성증권은 9만명이 넘는 1억원 이상 고액자산가를 보유하고 있다. 계열사를 통한 발행어음 업무 확대도 기대할 수 있다.

◇초대형 IB 경쟁, 차별화된 금융상품으로 승부해야

금융투자업계는 각 증권사의 경쟁도 기존 영업 부문을 강화하는 형태로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원재용 연구원은 6일 “시장 침체 속에서 적절한 투자 대상을 찾기 어렵고, 운용 규제로 발행어음 수익 창출도 시간이 걸릴 전망”이라면서 “자기자본 4조원 이상 증권사는 자기자본이익률(ROE) 희석을 막기 위해 기존 업무를 더 강화하고 비용 효율성을 개선하면서 증권업 내 시장 지배력을 넓혀 갈 것”이라고 관측했다.

장효선 연구원은 “초대형 IB의 의미는 단순히 발행 어음이라는 신사업 추가보다 확대된 자본을 바탕으로 단순 대행 업무 탈피에 방점이 있다”면서 “단순 발행 어음보다 자기자본 투자(PI)와 대행 경계를 허무는 하이브리형 모델 정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Photo Image

유근일기자 ryuryu@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