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SW)가 전통산업 한복판으로 걸어 들어왔다. 자율주행과 가상현실은 하드웨어 진보를 이끄는 핵심이다. 가장 상용화에 근접한 기술이다.
자율주행차는 선택이 아닌 필수다. 시장조사 업체 내비건트리서치에 따르면 레벨2 이상 자율주행 시스템을 탑재한 자동차 비중이 2025년 4%에서 2035년 75%로 대폭 성장할 전망이다.
시장 규모는 2020년 189억달러(약 22조원)에서 2035년 1152억달러(135조원)까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운전자 편의성 향상과 안전성 강화에서 비롯된 자율주행 기술이 앞으로 자동차 구동 기술로 자리 잡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미국도로교통안전국(NHTSA)은 자율주행 기술을 레벨 0부터 4까지 다섯 단계로 정의했다. 통상 제한된 조건에서 운전자 개입 없이 차량 스스로 작동이 가능한 레벨2 단계부터 자율주행차 범주에 들어간다.
레벨3는 기본으로 모든 기능을 차량이 자동 제어하고 돌발 상황에서만 운전자가 관여한다. 레벨4는 운전자가 목적지만 입력하면 출발부터 도착까지 자동차 스스로 주행하는 단계다. 최근 구글 등 일부 업체는 운전자 조작이 완전히 배제되는 수준을 `레벨5`라고 정의한다.
정부는 2020년까지 레벨3 수준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위해 관계 부처 합동으로 `자율주행차 사용화 지원 방안`을 추진한다.
이는 △시험운행제도 혁신 등 상용화 대비 제도 마련 △정밀도로지도 제작 등 자율주행 인프라 확충 △10대 핵심 부품 개발을 활용한 산업 육성 △자율주행 실험도시(K시티) 구축 등 기술 개발 지원 등을 포함한다. 레벨4 수준 완전 자율주행차를 2026년 상용화하겠다는 계획이다.
완성차 업계는 자율주행 연구 단계는 레벨3~4, 상용화 수준은 레벨2 이상이다. 현대자동차는 2015년 자율주행 레벨2 수준 고속도로주행지원시스템(HDA)이 적용된 `제네시스 EQ900`를 출시했다. 볼보는 2017년까지 자율주행 자동차 100대를 일반도로에 달리게 하는 것을 목표로 `드라이브 미(Drive Me)`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구글 모기업 알파벳 그룹 자동차 사업부문 웨이모는 피아트크라이슬러(FCA)와 합작한 `퍼시피카 PHEV` 자율주행차 100대를 내년 초 일반도로에서 시험주행한다.
완성차 업체는 정보기술(IT)·전자업체와 협력관계를 맺고 커넥티드카 개발에도 열을 올리고 있다.
완성차 업계는 2020년대 후반 글로벌 완성차 시장이 1억3800만대까지 성장하고 모든 신차가 커넥티드카로 생산될 것으로 내다봤다. 커넥티드카는 통신망에 상시 접속해 광범위한 주행환경을 파악, 자율주행기술을 완벽히 구현하는데 필수조건이 될 전망이다.
빅데이터 분석기술, 인공지능 알고리즘, 지속적인 통신망 연결 등으로 미래 사물인터넷(IoT) 허브 역할을 한다.
가상현실(VR)은 내년 사업화에 도전한다. 개인화 기기보다 우선 공공장소나 일정 공간에서 즐기는 VR테마파크나 VR방이 대중과 만날 것으로 예상된다.
CGV는 최근 바른손엔터테인먼트와 협력해 영등포 CGV에 VR 복합 체험존 VR파크를 열었다. VR 콘텐츠를 유료로 체험할 수 있다.
스코넥엔터테인먼트도 새해 국내외에서 VR 체험공간 사업을 시작한다. 130여㎡(40평) 정도 규모에서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HMD)와 PC가 장착된 백팩을 메고 게임을 즐길 수 있다.
국내 VR산업은 콘텐츠 위주로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HMD는 오큘러스, 바이브 등 해외 업체가 이미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했다.
중국, 미국, 북미, 유럽 등은 이미 기존 놀이공원에 VR 콘텐츠를 결합하고 있다. VR를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테마파크도 속속 등장한다.
공공장소에서 상영하거나 플레이하는 VR는 통상 6개월마다 콘텐츠 교체주기를 맞을 것으로 관측된다. 세계 곳곳에서 정기적인 콘텐츠 수급 수요가 발생할 것이라는 예측이다.
<세계 자율주행차 시장 규모, 출처 내비건트리서치>
<세계 가상현실 시장전망 추이, 출처: Statista, , 단위 백만 달러>
김시소 게임 전문기자 siso@etnews.com, 류종은 자동차/항공 전문기자 rje312@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