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계기업 4300개 육박...기업 부실 위험 적신호

2011년 이후 우리나라 기업 부실위험이 꾸준히 확대된 만큼 구조조정을 일관되게 추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최영준 연구위원은 25일 `기업 취약성지수 개발 및 기업 부실화와의 연관성`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최 연구위원은 기업의 부채비율, 수익성, 유동성, 도산 위험, 외부금융 위험 등에 관한 지표를 활용해 한계기업과 만성적 한계기업 등 2개 그룹을 대상으로 취약성지수를 산출했다.

여기에서 한계기업은 지난해 기준으로 이자보상배율(영업이익/이자비용)이 1미만인 기업이다.

만성적 한계기업은 한계기업 중 과거(2001∼2014년)에 한 차례 이상 한계기업으로 분류됐던 기업을 말한다.

분석 결과를 보면 취약성지수는 2000년대 초반 이후 하락세를 유지했지만 2011년부터 소폭 상승세를 나타냈다.

만성적 한계기업의 취약성지수는 2010년 1.13에서 2011년 -1.17로 크게 떨어졌다가 2012년 -0.96, 2013년 -0.69, 2014년 -0.72로 꾸준히 상승했고 작년에는 0.66까지 올라갔다.

취약성지수가 상승했다는 것은 기업이 부실화할 위험이 그만큼 커졌다는 의미다.

한계기업은 2000년 이후 꾸준히 늘어나면서 작년 말 4252개를 기록했고 만성적 한계기업은 2804개로 집계됐다.

업종별로 보면 한계기업의 경우 제조업, 도소매업, 부동산·임대업, 건설업 등 4개 업종이 전체의 약 80%를 차지했다.

보고서는 “자동차 부품, 특수목적용 기계, 전자부품, 1차 철강 등 경기에 민감한 업종들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다른 업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부실화됐다”고 설명했다.


길재식 금융산업 전문기자 osolgil@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