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조특위 5차 청문회]우병우 시종일관 `모르쇠`…진실규명은 특검 몫으로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이 국회 최순실 국정 농단 의혹 진상 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특별위원회(이하 국조특위) 5차 청문회에 모습을 드러냈지만 `모르쇠`로 일관했다. 이날 청문회는 사실상 `우병우 청문회`라 할 정도로 집중 질의가 쏟아졌다. 우 전 수석은 별다른 표정 변화 없이 동요하지 않고 각종 의혹에 대해 부인했다. “민정수석으로서 할 일을 했다”는 답변으로 일관했다. 핵심 증언 없는 `껍데기 청문회`로 마무리되면서 진실 규명은 특검 몫으로 남게 됐다.

◇禹 “최순실 현재도 모른다”…의혹 전면 부인

우 전 수석은 최순실이라는 사람에 대해 시종일관 모른다고 말했다. 최 씨와 관련된 혐의에 전면 부인하고 “현재도 모른다. 언론에서 봤다”고 대답했다.

정유섭 의원(새누리당)은 이날 첫 질의에서 “국민이 최순실 사태에 왜 분노한다고 생각하느냐”고 묻자 우 전 수석은 “그 부분에 대해선 입장을 밝히지 않겠다”고 입을 닫았다. 가족회사 `정강`의 자금 유용 의혹에 대해선 “인정하지 않는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이날 김경진 의원(국민의당)은 우병우 전 수석의 장모 소유인 기흥CC 직원이 “우병우를 최순실이 꽂아줬다”고 증언한 녹취록을 공개했다.

도종환 의원(더불어민주당)이 2년 전 광주지검의 세월호 사건 수사 과정에 개입했다는 의혹을 제기하자 “압수수색 하지 말라고 전화한 적 없다”고 부인했다.

최씨 국정 개입을 사전에 막지 못한 것에 고의성이 있었는지를 따진 황영철 의원(새누리당)의 질의에는 “그냥 민정수석으로서 일을 했다. 저의 일을 했다”고 주장했다.

Photo Image

우 전 수석은 한 달 넘게 국조특위에 증인으로 채택됐음에도 두문불출했다. 우 전 수석이 국회 청문회장이라는 공식 석상에 나타난 건 피고발인 신분으로 검찰에 소환된 지난 달 6일 이후 46일 만이다.

그동안 청문회 출석 회피에 대한 위원 질타에도 “그런 적 없다”고 응답했다. 박영선 의원(더민주)은 “현상금 2000만원이 무서워서 이제야 나왔느냐”고 추궁했다. 우 전 수석은 “민정수석을 그만두고 취재진이 집 주변에 계속 진을 치고 있었다. 취재진을 피해 있었던 것이지 국회 출석 요구를 피한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

우 전 수석은 여야 의원의 잇따른 핵심 의혹에 대한 질문에 “동의하지 않는다”로 일관했다. 자신에게 불리한 질문에 대해선 거의 모른다고 답했다. 최순실 사태에 따른 책임 추궁에는 “송구하다”는 짧은 입장만 표명했다.

이러한 우 전 수석의 답변 태도에 일부 의원은 한숨을 내쉬기도 했다. 롯데 압수수색 정보가 사전에 유출됐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롯데가) 70억(원)인지 75억(원)인지를 받은지도 모른다. 돌려주는 것도 물론 모른다”고 답하자 박영선 의원은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의 답변 태도를 빗대 원색 비난하기도 했다.

참고인 신분에서 증인 신분으로 바뀐 노승일 K스포츠 부장은 우 전 수석과 차은택 관계를 폭로했다. 노 부장은 “차은택의 법적 조력자 김기동이라는 말을 들었는데, 그 김기동을 우병우가 소개해줬다고 들었다”고 증언했다.

◇군 인사 개입 의혹 제기

이날 청문회에선 우 전 수석이 군대 내 사조직인 알자회 운영과 함께 군 인사에 개입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박범계 의원(더민주)은 “육사 34~43기 출신이 만든 알자회를 아느냐”고 묻자 우 전 수석은 “들어봤다”고 답했다. 박 의원은 우 전 수석과 안봉근 청와대 비서관이 알자회 뒤를 봐 준다는 것을 인정하느냐고 물었지만 부인했다.

박 의원은 “조현천 기무사령관을 통해 장준규 육군참모총장에게 진급 오더를 내린 적 있나”라고 묻자 우 전 수석은 “장성 진급에 대해 얘기한 적은 없다. 통상적 업무 얘기는 해도 누구 승진 얘기한 적은 없다”고 답했다.

알자회는 12·12 쿠데타를 주도한 군내 사조직 `하나회` 뒤를 이은 육군사관학교 출신 사조직이다. 육사 34기부터 43기까지 120여명이 속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하태경 새누리당 의원은 “민정수석으로서 열심히 일한 결과가 결국 대통령 탄핵”이라고 지적한 데 대해 “제가 사전에 좀 세밀히 살펴보고, 미리 알고, 막았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생각한다. 그런 부분은 제가 미흡했다”고 시인했다.

성현희 청와대/정책 전문기자 sungh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