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단상]모바일 전자정부, 0.1초를 잡아라

Photo Image

우리가 사는 세상은 정보통신기술(ICT)을 통해 모든 것이 이어지는 초연결 사회로 진입했다.

에릭 슈미트 구글 전 회장은 저서 `새로운 디지털 시대`에서 “앞으로 10년 안에 80억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는 세계 인구 대부분이 온라인에서 활동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글로벌 ICT 기업 시스코는 오는 2020년 인터넷에 연결된 사물 수가 500억개에 이르고, 개인당 10개에 가까운 사물이 연결될 것으로 예상했다.

모든 인류가 온라인·사물과 연결되고, 이와 연관된 상호작용을 하면서 정치·사회·경제는 엄청난 변화를 맞이할 것이다. `포켓몬 고` 열풍을 불러 온 증강현실(AR), `알파고`의 인공지능(AI), 가상현실(VR) 등 다양한 신기술이 우리 생활의 일부분이 됐다.

인간과 사물을 연결하는 기술의 중심에는 스마트폰으로 대표되는 모바일이 있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 스마트기기 기반의 모바일 플랫폼은 PC의 시간과 장소 제약을 뛰어넘는다. 단점으로 지적돼 온 입력의 불편함은 무선 키보드 등 보조 장치로 극복했다. 모바일만으로 웬만한 업무 처리가 가능하다.

최근 인터넷 뱅킹에서 모바일 서비스 이용 비중이 60%를 넘어섰다고 한다. 홍채 같은 생체인증 기술이 적용돼 보안과 편리성이 한층 강화됐다. 모바일을 통한 은행의 업무 처리가 가속될 전망이다.

정부도 국민과 기업이 정부 서비스를 쉽게 이용하도록 모바일 전자정부에 매진한다. 지난 9월 기준 행정·공공 기관이 1200여개 애플리케이션(앱)을 국민에게 서비스하고 있다. 한국철도공사 코레일톡은 1000만명 넘는 국민이 이용할 정도로 사랑받고 있다. 고속도로 교통 정보나 민원24 등 국민 생활에 밀접한 앱이 많이 활용된다.

최근 들어서는 PC 기반의 행정 기관 홈페이지나 전자정부 서비스도 대부분 모바일 전용 웹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국민 생활이 신속하고 편리하도록 서비스가 손바닥 안으로 들어왔다.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모바일 서비스를 위해서는 극복해야 할 과제 또한 많다. 모바일 서비스는 스마트폰 분실, 도난에 따른 정보 유출 가능성이 있다. 다소 취약한 보안 때문에 해킹 위협은 늘 존재한다.

모바일 서비스에는 최신 보안 기술 접목이 필요하다. 새로운 기술의 스마트폰 출시, 모바일 생태계 변화 등을 적시에 반영하기 위해 서비스를 지속 개선해야 한다. 그래야 국민 눈높이에 맞출 수 있다.

맞춤형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개인 정보 수집 범위, 서비스 제공을 위한 스마트폰 접근 권한 요구 등도 국민 입장에서 고민해야 한다.

행정자치부는 모바일 보안 문제와 최신 기술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모바일 민원서비스 협의체를 구성, 부처 간 협업을 강화했다. 모바일에서 한 번에 모든 민원 서비스 처리가 가능한 `모바일 완결 서비스`가 목표다. 모바일 서비스 품질과 절차 개선을 위해 모든 부처가 함께 고민한다. 공무원의 일하는 방식 개선, 현장 중심 업무 처리를 지원하기 위해서도 모바일을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사람들은 더 빠르고 편한 서비스를 원한다. 모바일 서비스를 위해서는 불필요한 0.1초까지 잡아야 한다. 국민의 입장에서 불필요한 입력과 절차를 간소화해야 한다. 국민에게 꼭 필요한 정보만 골라 적시에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정부가 제공하는 다양한 모바일 서비스를 한곳으로 모아 국민이 더 빨리, 더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 정부3.0 앱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국민의 0.1초도 소중히 여기는 모바일 서비스로 우리 모두 즐거워지는 세상을 기대해 본다.

김성렬 행정자치부 차관 sunglkim@korea.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