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홈과 인공지능, 자율주행차, 클라우드,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서비스용 로봇.
배진우 한국지식재산전략원 그룹장이 주요국 특허를 기준으로 봤을 때 한국에 승산이 있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이다. 그는 해당 기술에 정부 연구개발(R&D) 예산을 집중하고 대·중소기업이 역할을 분담하면 한국도 4차 산업혁명 시대 운신폭을 넓힐 수 있다고 봤다. 23일 서울 역삼동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특허로 전망한 미래 기술 예측` 세미나에서 밝힌 내용이다.
배 그룹장은 이날 `핵심기술 특허분석을 통한 한국 경쟁력` 발표에서 미국과 유럽, 일본, 한국 등 주요 4개국에서 공개된 특허(등록특허 포함)를 기준으로 특허현황과 전망, R&D 전략 등을 제시했다. 지난 1994년부터 올해 4월까지 4개국 공개특허 중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로 평가한 특허 14만5500여건을 분석한 결과다.
배 그룹장은 “미국 특허상표청에서 4차 산업혁명 기술 출원이 가장 활발하다”며 “한국은 지난 2009년부터 관련 분야 미국특허 출원량이 일본을 앞질렀다”고 밝혔다. 그는 “출원시장을 4개국으로 확대하면 한국은 특허점유율이 3위, 피인용률과 시장확보율 등이 각각 4위”라며 “한국이 양적인 면에서는 중위권 경쟁력을 갖췄지만 품질과 시장선점에서는 뒤처진다”고 평가했다. 간접적인 특허품질 비교가 가능한 피인용이 적고, 같은 기술이어도 주요국에 동시 출원하지 않아 향후 시장경쟁에서 불리할 수 있다는 얘기다.
그는 “기술별로 나눠보면 스마트시티의 양적 점유율이 다른 기술보다 앞선다. 사물인터넷과 웨어러블, 서비스용 로봇, 자율주행차 순으로 양적인 경쟁력을 확보했다”고 평가했다. 또 “피인용 등 품질 면에서는 서비스용 로봇과 스마트홈 외에는 부진하다. 시장확보율도 서비스용 로봇 외에는 미흡하다”고 설명했다. 더욱이 관련 기술 원천특허는 이미 2000년대 초반 개발이 끝난 상황이다.
때문에 배 그룹장은 “4차 산업혁명을 앞두고 특허 관점에서 전략적 선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기업은 인프라·응용 분야에 해당하는 △스마트홈 △인공지능 △자율주행차 △클라우드 등을, 중소기업은 센서·기기 등에 해당하는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서비스용 로봇 등을 공략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정부 R&D 예산 역시 이 부분에 집중 배정해야 한다”는 것이 그의 판단이다. 미래성장동력 분야의 세부기술 경쟁우위는 물론, 기술별 국가경쟁력을 고려할 때 전략적인 R&D가 현실적이라는 판단에서다.
※상세 내용은 IP노믹스 홈페이지(www.ipnomics.co.kr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기종 IP노믹스 기자 gjgj@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