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밍 정보로 감염병 막는다···KT 꿈 무르익다

Photo Image
KT 빅데이터 센터 직원이 해외 감염병 발병지역 데이터를 분석하고 있다.

KT가 질병관리본부와 로밍데이터를 활용한 `해외 감염병 차단 서비스`를 시작한다. 질병관리본부가 오염 지역 정보를 제공하면 KT는 로밍 자료와 대조, 방문자를 찾아내 감염 여부를 추적하는 서비스다.

KT가 로밍데이터 활용 빅데이터 선도 시범 사업으로 추진하는 `스마트 검역정보시스템 고도화 사업`이 16일 실시된다. 해외 로밍데이터를 활용, 감염병 오염 국가에서 국내로 입국하는 사람을 확인하고 감염병 잠복 기간을 모니터링하는 검역정보화 사업이다.

미래창조과학부, 보건복지부, 이동통신사가 참여하는 정부 3.0 협업 사업이다. KT 가입자를 대상으로 이날부터 본격화된다. 이동통신사별 시스템 구축이 완료되는 내년 4월부터는 대상이 이동통신사 가입자 전원으로 확대된다.

질병관리본부는 이동통신사에서 확보한 감염병 오염 국가 방문자를 대상으로 입국 이후 감염병 잠복 기간까지 증상 발현 때 신고토록 안내 문자를 발송하고, 전국 의료기관과 오염 국가 방문자 정보를 공유해 진료 의사가 환자 여행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등 해외감염병 대응 감시 체계를 강화한다.

이 사업은 KT의 빅데이터 활용 사례에서 비롯됐다. KT는 최악의 조류 독감이 발생한 2014년 빅데이터 분석으로 가축 운반 차량 경로와 조류독감 발생 지역이 일치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빅데이터 분석에 자신을 얻은 KT는 로밍 자료를 활용, 질병의 국가 간 이동도 막을 수 있다고 자신했다.

황창규 KT 회장은 6월 `UN글로벌콤팩트(UNGC) 리더스 서밋 2016`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한 감염병 확산 방지`를 제안했다.

해외에서도 관심이다.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는 KT 로밍 방역 체계를 공식 의제로 채택할 예정이다.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17`에서 정식 채택될 가능성이 짙다. 세계 이동통신사 간 로밍 자료를 공유하면 방역이 훨씬 정확해진다.

김이식 KT 빅데이터센터 상무는 15일 “조류독감 확산을 막은 경험이 없었다면 정부를 설득하기 어려웠을 것”이라면서 “이론을 정부 정책 수준으로 끌어올린 게 가장 큰 성과”라고 설명했다.

Photo Image

로밍 정보를 기록하려면 현지에서 수·발신이 한 건이라도 있어야 한다. 환승 과정에서 휴대폰을 켜지 않았거나 현지에서 유심칩을 구매한 사람은 로밍 정보 확인이 불가능하다. 단말기 식별번호(IMEI)로 위치 정보를 알 수도 있지만 번거롭다. 통신사 간 정보 교환이 필요하다.


김용주 통신방송 전문기자 kyj@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