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 `한의약`, `과학` 입혀 재도약 시도

한의약이 현대화로 재도약을 시도한다. 과학화를 통해 한의약을 보완대체의학 핵심 요소로 자리매김 한다는 복안이다.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12일 보건복지부와 한약진흥재단 등에 따르면 연말까지 한의약 표준진료지침과 통합임상정보센터 구축을 위한 정보화전략계획(ISP)을 수립한다. 병원과 의사마다 달랐던 진료방법을 통일하고, 각종 한의약 정보를 제공하는 `허브`를 구축한다.

내년 구축 예정인 한의약 통합임상정보센터는 표준임상진료지침 개발과 보급·활성화를 담당한다. 2021년까지 개발할 30개 질환 표준지침을 배포한다. 배포 후 한의학계 피드백을 받아 수정하거나 추가로 개발한 지침을 심사한다. 근거 중심 한의 표준임상진료지침을 개발해 의료서비스 질적 제고를 도모한다. 임상진료지침은 의사가 환자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표준 방법론이다. 정부는 지난 7월 교통사고상해증후군, 족관절염좌(발목 삠·접질림), 편두통, 파킨슨병, 중풍 등 30개 질환에 대한 표준지침을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한의학 정보 `허브` 역할도 수행한다. 내년까지 일선 의료기관에서 시행 중인 한의 의료기술, 한약, 통계 정보 등 한의학 지식정보를 한 눈에 보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전문지식은 물론 한의학에 관심이 많거나 자신의 질환, 치료방법에 의문이 있는 환자도 정보를 얻을 수 있다.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한의학계 숙원 사업인 표준임상진료지침 개발이 본격화된다. 의료분야 표준지침은 127개에 이르지만, 한의약은 15종에 불과하다. 같은 질병이라도 한의사와 병원마다 치료방법 차이가 크다. 환자 신뢰도가 떨어지고 `비과학적`이라는 비판이 대두되는 근거다.

정석희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개발사업단장은 “표준임상지침 개발은 제각각이던 한방의료 형태를 표준화하는 작업”이라며 “특정 치료법을 보존하고 연구 자료를 모으는 의미도 있다”고 평가했다.

정보통신기술(ICT) 접목작업도 병행한다. 복지부는 `빅데이터` 기술을 최초 접목해 한의약 처방 데이터를 한데 모아 주요 질병과 약제를 개발하는데 사용한다. 내년 구축 예정인 한약표준화센터가 그 역할을 한다.

한의약 임상시험을 제도화한다. 복지부와 식약처는 이르면 내년 관련 규정을 마련해 한의약도 임상시험 등 유효성, 안전성 검증 과정을 거치도록 할 예정이다.

Photo Image
2015년 기준 폐, 휴업 의원 현황

`과학화`로 한의약에 새로운 활로가 마련될지 주목된다. 한방 진료실태와 연구개발(R&D)에 대한 대국민 만족도는 2008년 74.1%에서 2012년 56.2%로 급감했다. 개선해야 할 점으로 한약재 안전성 확보(30.5%), 치료효과에 대한 불확실성과 과학적 근거 부족(19.3%)이 꼽혔다. 지난해 기준 폐·휴업한 병원도 한의원(935개)이 가장 많았다. 환자와 의료계 지적 사항인 `과학화`를 접목해 위기를 타개한다.

세계 보완대체의학 시장은 2011년 898억달러에서 2015년 1141억8000만달러 성장했다. 2020년에는 1542억7200만달러까지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유럽, 일본 등은 관련 표준지침과 임상데이터 확보로 보완대체의학 시장 주도권 확보를 시도한다.

복지부 관계자는 “표준임상진료지침이 개발되면 한의약 과학화와 표준화, 지속적 보장성까지 강화 된다”며 “한의약 처방전을 빅데이터로 분석하면 장기적으로 한약 제제화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용철 의료/SW 전문기자 jungyc@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