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산업이 4차 산업혁명 패러다임에 대응하려면 `의료데이터`에 대한 전면 재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서비스로 확장하는 데에는 데이터 수집, 보관 플랫폼 구축과 활용 선결 과제인 법 개정까지 수반돼야 한다.
바이오혁신리더스포럼(의장 서정선)은 6일 서울 서초구 반포동 쉐라톤 서울 팔래스 강남호텔에서 출범식을 갖고 본격 활동에 들어갔다. 국회 및 정부부처, 연구기관, 병원, 바이오 업계 전문가 17명이 모여 첨단 바이오산업 육성 방안을 논의했다.
전자신문사와 한국바이오협회가 공동 주최하는 바이오혁신리더스포럼은 `4차 산업혁명`에 포커스를 맞춰 첨단 바이오산업 발전 방향을 모색한다. 정부가 밝힌 7대 바이오 강국 실현에 필요한 법·제도 개선, 연구개발(R&D), 바이오 벤처 생태계 구축 방안 등을 도출한다.
이철희 분당 서울대병원 교수는 `제4차 산업혁명과 바이오산업`을 주제로 기조 발제를 했다.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등 정보통신기술(ICT)과 결합한 바이오산업은 새로운 패러다임을 맞는다. 핵심에는 `의료데이터`가 있지만 활용할 인프라와 강력한 규제가 산업 발전을 저해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교수는 “4차 산업혁명은 모든 기기가 연결된 환경에서 데이터가 수집되고 AI를 활용한 해석 과정을 거쳐 바이오, 유통, 금융 등 다양한 산업에 적용되는 메커니즘”이라면서 “하지만 우리나라는 활용을 위한 소프트웨어(SW)가 없는 데다 개인정보보호법 등 각종 데이터 활용 규제로 산업이 성장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박래웅 아주대병원 교수도 “의료 분야만 해도 국제 학회에서는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해 연구목적에 맞는 프로그램만 제안하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면서 “진료, 건강기록, 생활 데이터 등을 활용하면 다양한 서비스가 창출되지만 우리나라는 활용 폭이 제한돼 있다”고 한 목소리를 냈다.
서정선 한국바이오협회장을 의장으로 박인숙 새누리당 의원, 관계 부처 바이오 정책 책임자(보건복지부, 산업통상자원부, 미래창조과학부, 농림축산식품부), 전자신문 등 바이오산업 발전 전략을 고심하는 기관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경기과학기술진흥원 등은 R&D 비전을 제시했다. 분당서울대병원, 고려대구로병원, 아주대병원 등 바이오헬스케어 전문가와 관련 업계 대표도 참여해 산업계 요구 사항을 적극 피력했다.
의료 데이터는 개인건강기록뿐만 아니라 진료정보, 라이프로그 데이터, 유전자 정보 등을 총칭한다. 이 데이터를 가공할 때 활용 영역은 무궁무진하다.
박인숙 새누리당 의원은 “바이오산업은 국가 경제 촉매제로서 가치가 높다”면서 “산업 육성을 저해하는 규제를 해소하는데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정용철 의료/SW 전문기자 jungyc@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