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인증, 개인정보 유출·보안문제 해결해야

Photo Image

공인인증서 대체 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생체 기반 바이오인증 기술이 편의성에도 불구하고 개인정보 유출과 보안문제 등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바이오인증기술 최신 동향 및 정책 과제`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바이오 인증 기술이 1990년대부터 국내와 북미, 유럽 등에서 주목받지 못한 이유로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프라이버시 문제 및 이용 거부감 △기기 간 호환성을 위한 표준화 미흡 △생체정보 복원 및 해킹 등 보안 문제 △기기 오류율 문제 △단말기 배포 및 고가의 센서 등 높은 운영비용 △법률문제 등을 꼽았다.

바이오인증기술은 지문, 정맥, 홍채, 얼굴, 음성 등 인간의 고유한 생체정보를 통해 개인을 식별하거나 인증하는 기술을 말한다.

최근 스마트폰을 활용한 모바일뱅킹 및 모바일쇼핑이 증가하면서 은행, 증권사들이 홍채 인증 서비스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개인 정보 문제와 관련 다른 인증 수단이 사고 발생시 재발급이 가능한 반면 생체정보는 유출되면 재발급이 매우 제한되고, 유출 정보가 영구적으로 악용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기기 간 호환성을 위한 표준화도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동일한 바이오인증기술을 이용하더라도 구현업체가 많으면 업체간 인식기술 호환성 확보가 어렵다는 말이다. 자칫 특정업체가 관련 시장을 독과점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보고서는 정책 과제로 “정부는 바이오인증기술을 금융기관이 자율적으로 도입할 수 있도록 보장하고 관련 법률 등 제도적 제약 요인을 지속해서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금융 분야의 바이오인증에서 특정기술 사용을 강제하지 않는 기술 중립성을 보장하고 관련 법 개정과 기술개발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아울러 보고서는 금융권이 기술력을 가진 핀테크 업체와 협력을 강화하고 중앙은행이 금융기관 간 생체정보 호환을 위한 표준화를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길재식 금융산업 전문기자 osolgil@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