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인은 잘 모르는 `핸드폰찾기콜센터`라는 곳이 있다. 지난 1999년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에 마련됐고, 서울 서초동에 본부가 있다. 우체국, 경찰서, 각종 대중교통 등에서 수집한 분실 휴대폰이 모인다. 한마디로 불이 나면 `119`이듯 분실 휴대폰은 이곳으로 모인다.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가 통신사 관련 단체여서 휴대폰 주인을 찾아 주기가 수월하다. 가입신청서에 비상연락망을 적는 사람이 다수이기 때문이다. 이곳에 분실 휴대폰이 도착하면 주인을 찾아 주는 비율은 연간 60%가 넘는다. 비상연락망을 적지 않는 등 연락이 되지 않는 사람을 제외하면 상당수가 주인 손으로 돌아간다.
그런데 우리나라 전체로 보면 휴대폰을 분실한 후 되찾는 비율은 연간 3%에 불과하다. 100만대 정도를 분실하고 고작 3만여대만 주인에게 돌아가는 것이다. 왜 이런 일이 벌어질까.
핸드폰찾기콜센터로 모이는 분실 휴대폰 절대량이 너무 적기 때문이다. 연간 4만~5만대만 이곳으로 보내진다. 나머지 95만대가량은 간 곳을 모른다. 하수구에 빠졌는지 해외로 불법 유출됐는지 확인할 길이 없다. 브로커를 통해 헐값에 해외에 팔려 나가는 것으로 추정될 뿐이다.
핸드폰찾기콜센터는 조금이라도 분실 휴대폰 수집률을 높이기 위해 상품권을 지급한다. 출시 1년 이내 휴대폰은 2만원, 1년 넘는 구형은 1만원이다. 하지만 예산이 부족하자 2012년에 예산을 50% 삭감했다. 신형 1만원, 구형 5000원이다. 그러자 연간 7만대가 넘던 분실 휴대폰 수집 대수가 4만대 수준으로 뚝 떨어졌다.
핸드폰찾기콜센터는 순수하게 이동통신 3사 비용으로 운영된다. 고객서비스 차원의 자진해서 나섰다. 하지만 휴대폰 보급률이 늘고 분실도 잦아지면서 예산이 한계에 이르렀다. 원래는 정부가 해야 할 일이다. 유실물법에서는 정부가 유실물 주인을 찾아 주도록 했다. 연간 100만대 분실 휴대폰 모두가 주인에게 돌아간다면 국민 편익이 크게 높아질 것이다. 이제라도 정부가 손을 써야 하지 않을까.
김용주 통신방송 전문기자 kyj@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