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너지는 가계, 해법 못 찾는 정부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가계가 무너지고 있다. 소득은 제자리인 데 빚은 빠르게 불어나고 있다. 청년은 취업이 어렵고 직장인도 벌이가 시원찮으니 지갑을 꽉 닫아 평균소비성향이 또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가계 붕괴를 막기 위한 대책이 시급하지만 정부는 마땅한 해법을 못 찾고 있다.

21일 정부와 업계에 따르면 가계의 경제 상황은 지속 악화되고 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30만6000원으로 지난해 2분기보다 0.8% 증가했다. 하지만 물가상승을 제외한 실질소득에는 변화가 없다. 사실상 수익이 1년 전과 그대로인 셈이다. 1분기에는 실질소득이 오히려 0.2% 줄었다.

가계 소득은 그대로인 데 빚은 빠르게 늘고 있다. 1분기 가계 빚 총액은 사상 최대치인 1223조6706억원을 기록했다. 3개월 만에 20조6000억원(1.7%) 늘었다. 2011년 4분기 916조였던 가계 빚은 5년도 안 돼 300조원 넘게 불어났다.

빚을 줄이려면 취업해 소득을 늘려야 하는데 이마저 어렵다. 지난해 연평균 9.2% 수준이었던 청년(15~29세) 실업률은 올해 평균 10%를 웃돈다. 6월 30만명대였던 취업자 증가폭은 7월 다시 20만명대로 떨어졌다.

취업이 어렵고, 빚은 늘고, 소득도 제자리걸음이니 소비를 늘릴 수 없는 구조다.

소득 중 소비를 나타내는 평균소비성향은 2분기 70.9%로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0.7%P 하락했다. 평균소비성향은 1분기(72.1%)에 이어 2분기에도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지갑을 닫는 가계가 계속 늘고 있다는 소리다.

통계청 관계자는 “평균소비성향은 전반적으로 하락 추세”라며 “고령화와 더불어 경기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말했다.

3분기부터 소비는 더 줄어들 전망이다. 자동차 개별소비세 인하 등 정책 효과가 소멸됐기 때문이다. 가정이 씀씀이를 줄이면 기업 활동이 위축되고 이는 결국 가계 소득 감소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발생한다.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가계 경제 상황이 악화되고 있지만 정부는 뾰족한 대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한국은행,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과 지난 19일 가계부채 관리협의체 회의를 열었다. 이날 회의를 바탕으로 조만간 대안을 발표할 계획이지만 큰 기대는 어렵다는 게 중론이다. 정부는 수 년 전부터 가계부채 급등을 우려하면서도 마땅한 해법을 제시하지 못했다.

이주열 한은 총재도 “정부 당국이 가계부채 증가세를 억제하려고 여러 조치를 내놨지만 눈에 띄는 성과가 나타나고 있지 않은 게 사실”이라고 토로했다.

가계 붕괴를 막으려면 빚 문제와 더불어 취업과 소득, 소비 문제를 포괄한 대책이 필요하다. 저출산·고령화 등 구조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도 필요하다. 하지만 정부 상황 인식이 비교적 긍정적인데다, 박근혜 정부 임기가 1년여 밖에 남지 않아 새로운 중장기 정책 추진은 사실상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추경 등 재정보강 대책의 신속한 추진, 일자리 중심 국정운영으로 가계소득 증대가 소비증가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유선일 경제정책 기자 ysi@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