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조 국가전략프로젝트 스타트]스마트시티

Photo Image
<전자신문 DB>
Photo Image
<전자신문 DB>

【사진1】스마트시티 분야는 요소기술 연계·통합이 필수라고 보고 관계부처·지자체·민간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기술개발 모델을 마련했다. 그동안 도시 건설, 에너지, 정보통신 등 개별산업·부처 중심으로 세부 요소기술 개발에 집중했지만 상호 연계를 통한 시너지 창출에 실패했다는 평가가 따랐기 때문이다.

우선 2020년까지 서로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물·에너지, 교통·안전 등 개별 인프라를 통합, 연계할 수 있는 스마트시티 기술 개발과 실증모델을 구축할 계획이다. 도시 내 상황을 실시간 습득·분석할 수 있도록 통합 플랫폼을 만들고 도시문제에 대한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을 개발해 공공서비스 품질도 높인다. 도시관리 빅데이터를 통합 관리하고 민간에도 개방해 고부가가치 신산업 생태계 조성도 유도한다는 복안이다.

도시유형별로 차별화된 실증도시에 구현하고, 외국 수준별 맞춤형 수출모델도 제시해 스마트시티 해외시장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국토부는 이번 스마트시티 프로젝트가 차질 없이 수행되면 각종 도시 관리 효율성이 15% 이상 향상될 것으로 내다봤다. 분야별로는 전기료·수도료 및 에너지 사용 최대 20% 절감, 교통정체 최대 15% 해소, CO2 최대 15% 감축이 예상된다.

또 개방형 운영체계 구축 등으로 오픈 스트리트 맵, 스마트 로지스틱스 등 민간의 다양한 스마트 솔루션이 개발돼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해외건설 수주에서 차지하는 도시개발 분야 비중도 현재 10%에서 2025년 30%까지 올라선다는 분석이다.

스마트시티는 도시 기획·설계단계부터 친환경 인프라, 정보통신기술(ICT), 문화 등을 결합해 도시관리 효율성을 극대화한 도시다. 최근 개도국의 급속한 도시화, 선진국의 기후변화 문제의 대안으로 부상했다. 시장분석 기관 마켓샌드마켓스는 세계 스마트시티 시장 규모가 2014년 4000억달러에서 2019년 1조1000억달러로 성장한다고 예측했다.

해외 주요국도 시장 선점을 위해 국가 차원 스마트시티 R&D에 경쟁적으로 나섰다. EU는 지난 2013년 스마트시티 R&D에 3억6000만유로, 미국은 지난해 스마트시티 이니셔티브에 1억6000만달러를 투자했다. IBM, 시스코, 슈나이더일렉트릭, 히타치, 지멘스 등 글로벌 대기업도 개별 요소기술 투자에 속도를 내고 있어 발빠른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스마트시티 SWOT분석

[2.2조 국가전략프로젝트 스타트]스마트시티

최호 전기전력 전문기자 snoop@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