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붙은 농업 바이오, 지자체 육성책 봇물..연속성 관건

Photo Image
연구진이 미생물 관련 실험을 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 간 `농업 바이오` 선점 경쟁이 뜨겁다. 전통 농업을 바이오·서비스와 결합해 6차 산업으로 탈바꿈시키는 게 목표다. 농업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업그레이드하는 시도다.

3일 지자체에 따르면 강원도, 경상북도, 전라북도 등은 농업과 바이오를 결합해 고부가가치 창출을 시도한다. 혁신도시로 이전한 공공기관과 연계는 물론 지역 대학, 병원, 기업과 클러스터를 구축해 시너지도 기대한다.

Photo Image
농생물 유전자원

농업, 수산 등 1차 산업과 결합한 바이오(그린 바이오)는 미래 식량 및 에너지 확보, 국민 건강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미래 식량 자주권을 위한 종자 확보와 개량, 천연물을 이용한 신약, 기능성 식품 개발 등은 산업적 가치가 높다. 정부는 그린 바이오 중요성을 인지, 처음으로 육성전략을 수립 중이다.

농업을 핵심 산업으로 하는 지자체도 바빠졌다. 저성장 1차 산업 늪에서 구원할 기대주로 `바이오`를 찜했다. 관광, 유통 등 서비스 산업과 결합해 6차 산업으로 발돋움시키겠다는 계획도 세웠다.

가장 적극적으로 움직이는 곳은 전라북도다. 지난달 바이오산업 육성위원회를 구성하고 첫 회의를 개최했다. 바이오 소재, 농생명, 라이프케어 등 3개 분과위원회를 갖춰 종합전략을 수립 중이다.

전북도가 내세우는 강점은 풍부한 작물, 연구시설 등 인프라다. 전북은 국내 쌀 생산량 16%를 차지할 정도로 농업이 발달했다. 농촌진흥청, 생명과학연구원, 한국식품연구원, 민간육종단지 등 관련 인프라도 집중됐다. 전국 최대 농생물 빅데이터 자원도 확보한다.

전북도청 관계자는 “농업 관련 기관이 전북 혁신도시로 이전하면서 연구개발에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인프라를 확보했다”며 “풍부한 농생물 노하우를 바탕으로 바이오산업 육성 계획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강원도 춘천과 홍천은 특산물을 중심으로 바이오 기술을 결합해 건강 기능식품, 바이오 의약품 개발을 추진 중이다. 지역주민이 직접 재배한 작물을 연구소, 바이오 기업 등이 참여해 고부가가치 식품 및 약품으로 개발한다. 재배(마을 공동체, 영농조합법인), R&D(춘천바이오산업진흥원, 홍천메디컬허브연구소), 인증(한국화학시험연구원), 유통(강원창조경제센터) 등 다양한 영역이 참여해 농업을 6차 산업으로 탈바꿈한다.

경상북도 의성도 최근 농업, 의료, 웰빙을 내세운 `K-헬스케어` 도시로 거듭나겠다고 밝혔다. 세포배양, 의농(의약+농업), 고령화 맞춤 의료산업, 스마트농기계, 건강식품 등 5개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이르면 올 연말 안에 사업계획을 수립한다. 경북 경산은 한방 바이오, 안동은 지역 특산물과 연계한 농업 바이오 사업을 추진한다.

지자체가 농업 바이오산업 육성에 뛰어들면서 농가 수익 창출 기대감을 높인다. 바이오 기술은 물론 관광산업까지 연계하면서 재래 1차 산업을 6차 산업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명확한 목표 설정과 체계적인 전략 수립이 동반되지 않을 경우 행정력, 재정 낭비 우려도 나온다. 실제 전북도를 제외하고 지자체 대부분은 종합계획을 수반하지 않은 단일 정부 과제를 충당한다. 기업 유치 등 핵심사항은 대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으며, 세부 전략도 지자체 주도가 아닌 외부 연구용역에만 의존한다. 사업이 연속성을 가질 수 없는 `묻지마`식 투자가 이어질 수 있다.

의성군청 관계자는 “세부전략은 대학교수를 통한 연구용역으로 수립할 예정”이라며 “사업과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알지 못 한다”고 말했다.

바이오 업계 관계자는 “현재 지자체에서 이뤄지는 바이오산업은 명확한 비전과 전략에 따르기보다는 `찔러보기`식 투자가 대부분”이라며 “지역 차별화된 바이오산업 육성이 가능한지, 기업 유치는 어떻게 진행할지 시장조사가 선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용철 의료/SW 전문기자 jungyc@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