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企, 공공판로 확보 위해 NET 몰려…대기업 미래 기술과는 거리

Photo Image

정부 신기술인증(NET)이 기계·소재, 전기전자 분야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인증 신청 중소기업이 공공조달 수요를 쫓아서 움직인 결과로 풀이된다.

25일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신기술인증 홈페이지에 따르면 지난 2006년부터 지금까지 인증된 기술 1105건(유효연장기술 포함) 가운데 674건(기계·소재 414건, 전기전자 260건)이 두 분야에 몰렸다. 전체 61%에 이르는 비중이다.

나머지 4개 분야는 화학·생명(190건), 건설·환경(127건), 정보통신(98건), 원자력(16건) 순으로 집계됐다.

중소·중견기업이 공공조달 가점을 받기 위해 인증에 뛰어든 것이 이같은 결과로 나타났다는 분석이다. NET 기술 중 중소기업 단독 신청한 기술은 665건으로 60%를 차지한다.

신수현 국표원 인증산업진흥과 연구사는 “공공판로 확산을 위해 (중소)기업이 엘이디(LED), 가로등 등 상용화가 가능한 분야 기술에 뛰어든 적이 있다”면서 “새로운 기술이지만 몇 년 안에 상용화도 염두에 둬야하는 NET제도 특성을 잘 활용하는 것이 된다”고 말했다.

중소기업이 NET에 선정되면 중소기업 의무구매 지원 혜택을 받는다. `중소기업제품 구매촉진 및 판로지원에 관한 법률` 제13조는 정부의 중소기업 기술개발 제품 우선구매를 명시했다. 동법 시행령 제12조 3항은 `우선구매대상 기술개발 제품의 구매목표 비율은 중소기업 물품 구매액의 10퍼센트 이상`이어야 한다고 적시했다.

이에 따라 중소기업과 대기업 신기술인증제도 접근 방식에는 다소 차이가 발생했다. 대기업은 미래 기술을 선도하는 과감한 기술을 신기술인증으로 신청하는 반면 중소기업은 빠른 상용화에 초점을 두는 경향이 많았다.

신 연구사는 “모 대기업은 플렉시블 배터리 같은 미래를 선도하는 독창적인 기술을 주로 신청하는 반면에 중소기업은 당장 상용화해 판매가 이뤄지는 기술을 주로 선보인다”고 설명했다.

신기술인증은 국내 기업, 연구기관, 대학 등이 개발한 신기술을 조기에 발굴해 우수성을 입증하려는 것이 목적이다. `신`기술이라는 명칭에 걸맞게 기술의 새로움을 평가한다. 예를 들면, 선풍기의 경우 풍력을 강화한 날개 달린 선풍기보다 날개 없는 선풍기가 더 좋은 점수를 받는 식이다. `국내 최초`라는 수식어가 붙어야 할 정도의 기술이어야 인증 받을 수 있다.

정부는 지난 6월 8개 부처가 각각 운영 중인 11개 신기술(NET)·신제품(NEP) 인증제도를 하나로 통합해 기업 편의를 높이는 방향으로 제도를 다듬었다. `신속인증심사제도` 등을 포함한다. 현재 기간연장 기술 108개를 제외한 인증 기술은 997개로 조만간 인증기술 1000건을 돌파할 예정이다.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