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푸드테크 산업 활성화 좌담회

`먹방`과 `배달` 등 음식문화와 정보통신기술(ICT)이 융합한 푸드테크가 국내외에서 신산업으로 무르익고 있다. 특히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푸드테크가 우리 일상 생활과 경제에서 큰 축을 차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전자신문은 푸드테크가 단순 유행을 넘어 산업으로 성장해 일자리 창출과 국가경제 성장에 일조할 수 있도록 각계 전문가를 초청, 20일 여의도 메리어트호텔에서 좌담회를 열었다.

참석자(가나다 순)

강신봉 요기요 부사장

김경규 농림축산식품부 식품산업정책관

송희경 새누리당 국회의원

안병익 씨온 대표

이정희 중앙대학교 교수

장석영 미래창조과학부 인터넷융합정책관

사회=김원석 전자신문 성장기업부장

Photo Image

△사회(김원석 전자신문 성장기업부장)=푸드테크가 하나의 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 오늘 이 자리가 우리나라 푸드테크 산업이 활성화되고, 세계화 되는 시발점이 되길 바란다. 국회와 정부, 학계, 업계 전문가들이 모였다. 산업 활성화를 위한 많은 조언을 부탁한다.

△송희경(좌장·새누리당 국회의원)=얼마 전부터 쇼핑몰 아마존에서 `프레시 트럭`을 운영한다. 이제 소비자가 원하는 요리 레시피를 포장해서 갖다주는 시대다. 전통산업이 ICT를 만났을 때 생긴 변화다. 푸드(음식)라는 전통적인 허들(장애)을 극복해 새로운 분야를 만들어야 한다. 푸드테크는 푸드와 기술이 결합한 융합산업이다. 우선 푸드테크를 어떻게 정의해야 하나.

△이정희(중앙대학교 교수)=우리 경제 곳곳에서 지금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 우선 식품산업이 정체다. 인구 성장이란 구조적인 문제에 부닥쳤다. 인구 감소는 양적으로 성장 가능성을 떨어뜨릴 수밖에 없다. ICT는 다른 분야와 융합해야 힘을 발휘한다. ICT는 상품과 거리를 좁혀 소비를 증진시킬 수 있다. 소비자 입장에서도 정보의 비대칭 때문에 불이익과 불편한 점이 있다. ICT는 이를 중재하는 역할을 한다. 이 과정에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가공 분야 역시 판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일자리 창출에서도 ICT와 음식을 연계하면 많은 새로운 사업을 낳고 스타트업이 생겨나게 할 수 있다. 또 이곳에서 잃어버린 우리 사회의 역동성을 되찾을 수 있다.

△송희경=한 번도 안 해본 서비스를 하는 것도 우리 사회의 돌파구가 될 것이다. 배달 역시 같은 사례다. 우리 사회 배달 시장 규모는 어떤가.

△강신봉(요기요 부사장)=우리나라 배달 시장은 10조~12조원에 달한다. 주요 배달 앱 3사가 취급하는 거래규모가 2조원 규모다. 전체 배달 앱 시장에서 20% 남짓이다. 배달 앱이 전자상거래 성장 패턴을 따라가고 있다. 전자상거래는 PC에서 모바일로 옮아가면서 빠르게 성장했다. 앞으로 연관 산업이 확장될 것이다. 요기요와 배달통은 딜리버리 히어로란 네트워크에 속했다. 이 가운데 한국이 가장 앞섰고 규모도 가장 크다.

△송희경=배달 외에 푸드테크 산업은 어디까지 확장될 것인가.

△안병익(씨온 대표)=미국이나 해외 사례를 보면 새로운 ICT가 접목한 푸드테크는 네 가지로 구분된다. 식품이나 식자재 배송, 맛집·레시피 같은 데이터를 담은 빅데이터, 배달 같은 온디맨드, 스마트팜·로봇 요리사·3D 프린팅 등 인프라가 이에 해당된다. 미국은 식자재 배달 시장만 82조원에 달한다. 우버는 레스토랑 배달앱 `우버잇`을 시작했다. 아마존은 레시피 배송만 연간 9조원 매출을 올린다. 매출은 2021년까지 21조원으로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도 알리바바, 텐센트, 바이두가 집중하는 시장이다.

우리나라 외식업 규모가 160조원이다. 식품산업은 157조원이다. 식자재 유통은 110조원이다. 배달시장도 15조원이다. 이 시장에 ICT가 결합되면 기존 산업의 30%인 100조원 이상 시장이 형성될 수 있다.

△송희경=캐나다에 가면 한인 청년이 운영하는 `트럭 떡갈비`가 유행이다. 음식은 엄마의 영역에서 각자의 손으로 옮겨갔다. 그만큼 변화했다. 하지만 신사업이 나올 때마다 정책적 규제이슈가 늘 나온다. 푸드테크는 어떤가.

△장석영(미래창조과학부 인터넷융합정책관)=푸드테크는 한국에서 초기 시장이다. 하지만 그 범위를 넘어서 스마트팜부터 개인화된 서비스와 웰니스(행복한 삶)까지 연결할 수 있는 중요 분야다. 여기서 나온 데이터는 매우 중요한 정보다. 식성 데이터가 쌓이면 의료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활용 영역도 넓다. 푸드테크는 지능정보의 중요한 베이스다. 이 분야에서 정부 부처 간 협력이 필요하다.

△송희경=푸드테크도 음식 배송부터 안전까지 책임지는 기본 플랫폼이 필요하다. 이는 하나의 공급사슬로 이어지고 이를 데이터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김경규(농림축산식품부 식품산업정책관)=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정부에선 신중한 입장이 필요하다. 현재 상태 O2O 중심 푸드테크 산업은 성장하지만 경쟁이 심화될 것이다. 아울러 성장에 한계도 있다.

식품과 ICT를 결합해 파이를 키우기 위해서는 콘텐츠 정보를 공유해야 한다. 기업이나 정부 각각 연구개발(R&D)을 진행 중이다. 여기서 정부가 할 일은 개방형 데이터베이스를 운영하는 것이다. 또 플랫폼을 민간에서 구축할지 정부가 할지 고민해볼 일이다. 다만 공공재로서 DB 구축은 정부 몫이다.

△송희경=국민이 건강한 먹거리에 관심이 많다. 푸드테크가 국민 생활을 바꿀 수 있을까.

△이정희=일례로 먹방이 인기를 끌면서 식재료 매출이 많이 올랐다. 예전엔 요리가 일거리였다. 먹방은 요리를 재미로 만들었다. 판매에 재미를 얹었다. 음식품 정보와 ICT가 만나면 음식을 선택하는 데 즐거움을 주고 도움을 준다. 또 1인 가구 비중이 전체 가구의 27%로 늘고 있다. 일본 히트 상품 가운데 하나가 `나홀로족` 상품이다. 푸드테크는 삶에 새로운 다양성과 시장 역동성을 부여할 것이다.

△송희경=배달앱 시장이 2조원이다. 2조원을 3조원으로 키우려면 어떤 규제를 바꿔야 하나.

△강신봉=기존 구조를 파괴하는 기술이 나오면 규제에 맞부딪친다. 규제는 후행할 수밖에 없다. 전자상거래나 우버 역시 그랬다. 그게 규제 속성인 것 같다. 일례로 배달 앱은 통신중개업 법 규정을 따른다. 하지만 실시간 소비가 일어나는 배달은 통신규제와는 맞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아울러 규제는 특정한 사안만을 불허하는 네거티브 원칙을 펴야 새로운 도전이 나오고 신사업이 탄생할 수 있다.

△송희경=OECD 국가 중 우리나라 소상공인 개업과 폐업률이 높다. 소상공인 문제 어떻게 봐야 하나.

△이정희=소상공인은 영세해서 소비자 연결에 한계가 있다. ICT가 소상공인을 위해 할 일이 많다. 마포 망원시장에는 `걱정말아요 김대리`가 유행이다. 망원 시장 콜센터에 전화 주문하면 회식 메뉴 걱정을 던다. 아울러 식당마다 경쟁이 벌어진다. 이처럼 ICT가 접목하면 건전한 경쟁을 유도하고 수요를 연결할 수 있다.

△송희경=푸드테크 스타트업 지원을 위해 정부가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장석영=전통산업에 ICT를 접목하는 것은 여러 부처에서 관심이 많다. 아이디어 사업화, 투자유치, 마케팅과 시장개척 과정을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지원하고 있다. 지원정책을 더 찾기 쉽게 알 수 있도록 하는 게 정부의 과제다.

△송희경=안전문제도 얘기해야 한다. 파이를 키우기 위해서는 식품 안전이 필요하다.

△김경규=기본적으로 안전 규제가 필요하다. 음식 품질 문제는 이제 정부 손을 떠나야한다고 생각한다. 규제는 질서 유지가 목적이다. 다만 질서유지를 위해 필요한 규제는 고민해야 한다.

소상공인 폐업률이 24%다. 일자리 질이 나빠지기 때문에 실업도 늘고 폐업도 증가한다. 이는 사회적 비용도 크고 개인적으로도 치명타다. 농림부에선 폐업률을 1%라도 줄이는 운동을 추진 중이다. 또 전북 익산에 국가 산업 클러스터를 조성 중이다. 농식품 벤처에 저렴한 가격에 사무실을 주고 기업지원시설을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아울러 이곳에서 발효, 아미노산, 건강기능식품 등 바이오식품기술과 ICT를 결합한 바이오 푸드 분야를 산업화하면 시장 확대에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송희경==우리 푸드테크산업이 글로벌로 가는 것이 가능할까.

△안병익=씨온은 중국 관광객 대상 맛집을 추천하고 있다. 푸드테크 산업이란 게 과거에는 한끼 떼우기식 `막식`이었다. 하지만 최근 식생활 문화가 바뀌었다. 푸드테크 시장은 핀테크 이상 큰 시장이 될 수 있다. 새롭게 출발하는 스타트업이 참여한다. 스타트업이 새 시장을 개척하지 않으면 새로운 산업도 없다. 상생 차원에서라도 정부 육성이 필요하다.

△이정희=해외 진출과 관련, 동남아는 유선전화를 건너 뛰고 무선전화를 도입했다. 미얀마 산골도 무선시대다. 배달 앱도 동남아 등 해외 진출 가능성이 있다. 또 ICT가 접목하면 K푸드도 해외에서 많은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송희경=요기요나 식신이 만든 서비스도 마케팅이 필요하다. 푸드 스타트업이 성장하기 위해 정부 지원도 필요하다.

△장석영=품질 문제나 소비자와 거래자가 쉽게 만날 수 있는 기반을 만들 것으로 기대한다. 아울러 푸드테크는 지역 사회와 글로벌한 협력을 함께하는 글로컬한 시각을 가져야 한다.

△이정희=그동안 우리는 내수시장에 치중해 왔다. 새로운 아이디어를 갖춘 스타트업 육성이 필요하다. 치킨 가게 오픈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아이디어를 가진 기업을 키워야 한다.

△강신봉=정부가 도와주는 것이 오히려 발목을 잡을 수 있다. 천천히 가도 좋으니 스타트업이나 기업에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제대로 된 정책이 필요하다.

△김경규=푸드테크는 속도보다 융합에 방점을 찍어야 한다. 푸드테크는 레드오션은 아니다. 식품산업은 전후방으로 가치사슬이 넓고 크다. 농촌과 관광, 문화와 역사, 음식과 문화를 연결시킬 수 있다. 결국 융합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안병익=푸드테크 산업은 이제 시작이다. 인도에 다와바라는 100년된 도시락 배달이 있다. 오차율이 천만분의 일에 불과하다. ICT가 만능은 아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ICT는 기존 산업을 바꿀 수 있는 역할을 할 것이다. 많은 부처가 푸드테크 산업에 관심을 가져주길 바란다.

△사회=신성장 산업은 진흥과 규제 사이에서 균형감 있게 커 가야 한다. 전자신문도 앞으로 푸드테크가 성장할 수 있도록 애쓰겠다.

정리=


이경민 성장기업부(판교)기자 kmlee@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