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주도로 개발한 나노기술이 사업화로 이어지는 사례도 속속 나오고 있다.
나노기술이 연구실에 머물지 않고 신제품으로 개발되면서 새로운 시장과 일자리를 창출하는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상용화 지원 사업은 `나노융합 2020` 프로젝트로 명명됐다. 2012년부터 시작돼 2020년까지 5130억원이 투입된다. 지난해(9월)까지 12개 기업이 사업화에 성공했다. 특허 출원은 149건, 특허 등록은 20건 각각 이뤄졌다. 818억원 매출 성장, 265명 고용 창출 효과가 발생한 것으로 추산된다.
세계 최초 제품이 상용화된 사례도 나왔다. 에코메트론은 나노 기술 기반의 가짜 석유 판별 키트를 상용화했다. 기존에는 별도 채취한 시료를 전문가가 고가의 장비로 분석했다. 이를 다공성 나노 섬유 식별 센서로 대체했다. 가짜 석유 속 법정 식별제와 반응, 언제 어디서든 가짜 석유를 빠르게 판별한다.
엔젯은 `고전도성 메탈잉크를 이용한 유연 투명전극 및 프린팅·코팅 설비`를 상용화했다. 중대형 투명전극 1000㎜ 폭 컨베이어식 정전기젯 프린팅 장비는 2014년 IR52 장영실상을 받았다. 투명전극 제조용 500㎜ 폭 컨베이어식 정전기젯 코팅 장비 상용화는 세계 최초다. 기존의 건식 증착을 습식으로 전환했다. 공정 생산성은 30% 높이고 단가는 50% 인하할 수 있는 혁신 기술이다. 대한민국 우수 특허 대상을 받았다.
나노 바이오 산업은 향후 지원이 절실한 분야로 꼽힌다. 우리나라는 세계 수준의 나노 바이오 기초 원천 역량을 보유했지만 기술 실용화, 산업화가 미약하기 때문이다. 기술 수준은 83.0(최고 100 기준)에 이르지만 나노융합 제품 매출 가운데 나노 바이오·의료 비중은 0.3%(4126억원)에 불과하다.
중소·중견 기업이 유효성 평가 문턱을 넘지 못하는 것이 문제로 지적된다. 나노 바이오 기술은 임상·환경 적용성이 검증돼야 투자를 유치할 수 있다. 기술·제품 개발이 끝나도 사업화 문턱이 높은 셈이다.
정부는 기술 유형을 세 가지로 나눠 사업화 연계를 지원하는 `나노바이오 커넥트` 사업을 실시할 계획이다. 기술 유형은 진단기기, 분석장비, 치료물질로 나눴다. 진단기기는 최종 수요자가 병원이기 때문에 임상 수요를 고려, 병원과의 공동 연구를 지원한다. 혈액, 소변 등 임상 샘플의 유효성 평가는 필수다.
차세대 유전체 분석기 같은 분석장비는 안정된 결과 도출이 생명이다. 첨단기술을 제품화했을 때 결과를 보여 줄 수 있는 시제품 제작이 필요하다. 나노팹을 활용한 시제품 제작, 기술 기반 창업을 지원한다. 치료 물질은 양산 기술 개발과 임상 전 동물실험을 지원한다.
송준영기자 songjy@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