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주력산업 대부분이 중국 등 경쟁국의 시장진입 증가로 주력생산품이 공급과잉상태라는 진단이 나왔다. 산업고령화에 따른 부작용 해소를 위해 신규사업 투자가 시급하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가 국내 주요 업종단체 30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 90%(27곳)가 주력 생산품이 공급 과잉 상태라고 응답했다고 19일 밝혔다.
공급과잉 해소시점에 대해 10년 이상 장기간 지속될 것이라는 응답이 8곳(29.6%)이었으며, 3년 이내 해소될 것을 예측한 곳이 8곳(29.6%), 5년 이내라는 응답은 6곳(22.3%)으로 조사됐다.
응답 단체들은 공급과잉의 배경을 경쟁국 시장진입 증가와 글로벌 경기 침체에 따른 단기적 수요 감소를 원인으로 바라봤다.
추광호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공급과잉 문제를 국내 차원이나 단기적 관점에서만 보고 다운사이징 중심 구조조정을 하면 향후 경기 회복 시점에서 사업기회 자체를 날려버리고 경쟁국에게 기회를 이전시키는 `교각살우`가 될 수도 있다”며 “불황 원인이 외부적 요인이 큰 만큼 보릿고개 동안 체력 유지를 위한 구조지원도 함께 검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경기상황에 대해 절반 이상 업종(17곳, 56.7%)에서 장기불황 상황이라고 인식했다. 또 응답기업의 대부분(26곳)이 성장정체기 및 사양화 단계라고 분석해 새로운 성장 산업 태동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불황이 지속될 시 업종별 가장 우선해야 할 조치를 묻는 질문에는 응답단체 38.0%가 감산 또는 조업단축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투자축소(20.0%)도 높은 응답을 기록해 단기 불황대처 중심으로 대응을 고려하는 것으로 나왔다. 또 시장 확대와 기술 확보를 경쟁력 향상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았다.
정부가 우선해야 할 정책은 15곳(26.3%)이 `기업규제완화`라고 대답했고, `신성장 동력 발굴·육성`(13곳, 22.7%), `신시장 개척 지원`(12곳, 21.1%)도 높은 비율로 응답했다.
김명희 기업/정책 전문기자 noprin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