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반도체 등 업종단체 90% “주력 생산품 공급과잉상태”

우리나라 주력산업 대부분이 중국 등 경쟁국의 시장진입 증가로 주력생산품이 공급과잉상태라는 진단이 나왔다. 산업고령화에 따른 부작용 해소를 위해 신규사업 투자가 시급하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가 국내 주요 업종단체 30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 90%(27곳)가 주력 생산품이 공급 과잉 상태라고 응답했다고 19일 밝혔다.

공급과잉 해소시점에 대해 10년 이상 장기간 지속될 것이라는 응답이 8곳(29.6%)이었으며, 3년 이내 해소될 것을 예측한 곳이 8곳(29.6%), 5년 이내라는 응답은 6곳(22.3%)으로 조사됐다.

응답 단체들은 공급과잉의 배경을 경쟁국 시장진입 증가와 글로벌 경기 침체에 따른 단기적 수요 감소를 원인으로 바라봤다.

Photo Image
공급과잉 주요 이유 <출처:전국경제인연합회 업종별 단체 설문조사>

추광호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공급과잉 문제를 국내 차원이나 단기적 관점에서만 보고 다운사이징 중심 구조조정을 하면 향후 경기 회복 시점에서 사업기회 자체를 날려버리고 경쟁국에게 기회를 이전시키는 `교각살우`가 될 수도 있다”며 “불황 원인이 외부적 요인이 큰 만큼 보릿고개 동안 체력 유지를 위한 구조지원도 함께 검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경기상황에 대해 절반 이상 업종(17곳, 56.7%)에서 장기불황 상황이라고 인식했다. 또 응답기업의 대부분(26곳)이 성장정체기 및 사양화 단계라고 분석해 새로운 성장 산업 태동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불황이 지속될 시 업종별 가장 우선해야 할 조치를 묻는 질문에는 응답단체 38.0%가 감산 또는 조업단축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투자축소(20.0%)도 높은 응답을 기록해 단기 불황대처 중심으로 대응을 고려하는 것으로 나왔다. 또 시장 확대와 기술 확보를 경쟁력 향상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았다.

정부가 우선해야 할 정책은 15곳(26.3%)이 `기업규제완화`라고 대답했고, `신성장 동력 발굴·육성`(13곳, 22.7%), `신시장 개척 지원`(12곳, 21.1%)도 높은 비율로 응답했다.


김명희 기업/정책 전문기자 noprin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