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식재산전략원(원장 변훈석)이 국내 표준산업 분류에 맞춰 `특허 데이터` 동기화에 나선다. 산업 현장에서 특허 데이터에 기반을 두고 미래 먹거리를 찾을 수 있도록 접근 장벽을 허문다는 목표다.
전략원은 최근 국내외 290여만건 특허 빅데이터를 한 곳에 통합한 `국가 미래전략 특허분석센터`를 오픈했다. 누구나 `맞춤형`으로 활용할 수 있는 특허 분석 기틀을 마련한 셈이다.
특허분석센터는 향후 △정부 R&D 기획 △민간기업 미래 먹거리 제시 △기술금융 활성화 등을 목표로 미래 전략 분석을 지원한다. 국내 특허 정보에 시장·기술 정보 등을 추가해 필요에 따라 맞춤형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올해는 △정부 R&D 기획을 위한 유망기술 발굴 △민간업체 대상 맞춤형 특허 분석 제공 △기술금융 활성화를 위한 기술신용평가기관(TCB)·기술정보DB 등과 연계 강화 등을 우선 추진한다. 유망 기술뿐만 아니라 유망 제품·서비스까지 발굴 영역을 확장, 국가 미래 전략 밑그림을 그린다는 목표다.
전략원은 산·학·연·관 전문가가 참여하는 `통합전략위원회`를 별도로 구성했다. 통합전략위원회는 △R&D 기획 △민간 활용 △기술금융 세 분과로 나뉘어 민·관·학 분야에서 활용 접점을 찾는다. 산업 현장과의 간극을 좁혀 `언제든 쓸 수 있는` 적시성 있는 데이터베이스(DB)를 마련한다는 전략이다.
통합전략위원회에서 R&D 기획분과장을 맡은 이신두 서울대학교 교수는 “국내 실정에 맞는 접근이 필요하다”며 “국내 인프라와 수요, 기술 수준 등을 고려한 현실적 청사진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장 활용성을 높이고자 전략원이 추진할 첫 번째 과제는 분류 체계 통일이다. 기존 분류 체계는 특허·기술 종류만 수천가지로 현장에 바로 적용하기 어려웠다. 특허분석센터가 보유한 290여만건 특허 데이터도 △대분류(130개) △중분류(487개) △소분류(1720개) 등으로 구성됐다. 센터는 이를 표준산업분류(KSIC)와 과학·산업기술분류 등 주활용 분류 체계에 맞춰나갈 계획이다. 특허 영역 중심 분류 체계가 아닌 실제 `산업 지도`에 특허를 대입한다는 목표다.
전문가들도 분류 체계 동기화를 마친 특허 데이터는 기술금융 분야에서도 크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개별 특허 가치 평가뿐만 아니라 기술, 산업 단위 시장성 예측도 가능해진다.
※상세 내용은 IP노믹스 홈페이지(www.ipnomics.co.kr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양소영 IP노믹스 기자 syya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