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45미래사회@인터넷]인공지능·로봇과 공존 "우리가 준비해야 할 것은"

Photo Image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주최하는 `2045년 미래사회@인터넷` 북 콘퍼런스가 26일 서울 강남대로 메리츠타워에서 열렸다. 왼쪽부터 최재홍 강릉원주대 교수, 정준현 단국대 교수, 한상기 소셜컴퓨팅연구소장, 홍준형 서울대 교수, 신용태 숭실대 교수가 패널토론을 하고 있다.사진=윤성혁기자 shyoon@etnews.com

지난 3월 인공지능(AI) 알파고와 이세돌 9단 간 세기의 바둑 대결은 미래 기술과 현실 접목을 보여줬다. 현재 AI는 한계가 많지만 30년 후 예측 불가한 변화를 불러올지 모른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은 26일 강남구 네이버 D2 스타트업 팩토리에서 `2045 미래사회@인터넷` 북 콘퍼런스를 개최했다. 1년여 동안 2045년을 예측한 전문가들은 `인공지능과 로봇과 공존` 시대에 새로운 사회 구성과 규범 등을 준비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한상기 소셜컴퓨팅연구소장은 “인간이 현재 생물학적 형태와 한계를 넘어서는 모습으로 진화할 것”이라며 “지식 전달과 공유는 지금까지 네트워크 공유를 넘어서 뇌와 감각 기관을 통한 직접 전달과 이식 단계로 넘어간다”고 설명했다. 한 소장은 “이런 상황이 되면 인간과 컴퓨터 공생은 새로운 사회 구성과 구조를 요구한다”며 “교육, 체험, 기억 방식은 새로운 차원으로 진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술 발전은 기존 일자리를 없애기도 했지만 새로운 직업을 창출하기도 한다. 미국 라이스대 모슈 다르디 교수는 30년 안에 로봇에 의한 실업률이 50%에 육박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로봇과 AI가 인간 일자리를 위협하는 시대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정준현 단국대 법대 교수는 “자동화와 로봇 작업으로 기업 이윤은 극대화하지만 일반 국민 소득 획득 기회는 줄어들었다”며 “소비자 소득이 없어져서 기업도 더 이상 이윤을 추구할 수 없는 상태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정 교수는 “이런 문제를 해소하려면 기업 활동 중 일정 비율을 인간 노동력을 쓰도록 규범화해야 한다”며 “기업 이윤과 근로자 소득 적정화로 상생 경제를 정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Photo Image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주최하는 `2045년 미래사회@인터넷` 북 콘퍼런스가 26일 서울 강남대로 메리츠타워에서 열렸다. 왼쪽부터 최재홍 강릉원주대 교수, 정준현 단국대 교수, 한상기 소셜컴퓨팅연구소장, 홍준형 서울대 교수, 신용태 숭실대 교수가 패널토론을 하고 있다. 사진=윤성혁기자 shyoon@etnews.com

법률·의학 분야처럼 ICT도 미래기술 개발 시 윤리강령 마련도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신용태 숭실대 교수는 “ICT 개발자와 전문가 의사결정에서 윤리적 판단이 매우 중요한 문제로 떠오른다”며 “AI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커지고 있는데 개발자 윤리의식에 따라 프라이버시 문제뿐만 아니라 건강 생명, 공공 안전, 복지 등 삶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진다”고 설명했다. 신교수는 “ICT 윤리가이드를 만들어야 한다”며 “ICT뿐만 아니라 인문, 철학, 문화, 윤리, 경영 등 비ICT 분야도 함께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최재홍 강릉원주대 교수는 “혁신 아이디어는 `메디치 효과`에서 시작된다”며 “다양한 생각 교차와 의견 충돌, 수용 작업을 게을리하면 안된다”고 말했다. 그는 “혁신적인 2045년 사회를 구현하려면 방대하고 깊이 있는 지식을 손쉽게 접근해야 한다”며 “지식 기반 초 연결사회를 만들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홍준영 서울대 교수는 “2045 초연결사회는 국가뿐만 아니라 시민사회와 집단, 지역, 개인 등 전방위에서 강력하고 효과적 안전보장수단을 필요로 한다”며 “우월한 기술 역량을 갖춘 집단이나 조직이 정치·행정 모든 영역에서 영향력을 확대하는 전통 거버넌스와 다른 기술과 정치가 결합한 새로운 거버넌스가 정부를 대신해 권력을 장악하게 된다”고 전망했다.


김인순 보안 전문기자 insoo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