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백신 제조사인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이 85개 최빈국에서 특허를 출원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또 개발도상국에는 라이선스료를 적게 받겠다고 밝혔다.
월스트리트저널과 BBC 등 외신에 따르면 GSK는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최빈국 국민들이 저가의 복제약을 구입할 수 있도록 85개 저소득·저개발 국가에서는 특허를 출원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해당 지역 인구는 20억명가량이다. 또 51개 중하위소득 국가 복제약 제조사로부터는 로열티를 적게 받겠다고 말했다. 중하위소득 국가에는 베트남과 카메룬, 스리랑카 등이 포함된다.
GSK는 그간 중하위소득 국가 대부분과 특허청이 있는 저소득국가에 특허를 출원했다. 이 때문에 현지 복제약 제조사들은 특허침해를 우려해 약품 생산을 자제해왔다.
앤드류 위티 GSK 최고경영자는 “이번 조치로 최빈국 국민들의 약품 접근성이 개선되길 바란다”면서도 “대상국의 의약품 시장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서 회사 매출과 수익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영국약학회 대표를 지낸 레이몬드 힐 임페리얼칼리지 교수(약학)는 “GSK의 이번 조치는 다른 주요 제약사에 모범”이라며 “용감하고 건설적인 결정”이라고 평가했다.
외신은 제약사들이 최근 수년간 약가를 내리라는 정치적 압력에 직면해 유연한 특허 전략을 취해왔다고 전했다. 글로벌 제약사가 특정 시장에서 특허권 행사를 포기해 현지 제조사가 저렴한 복제약을 생산토록 허용한 것도 이런 전략에 포함된다.
한편 일각에서는 이번 조치가 약품 접근성을 유의미한 수준으로 늘릴 것인지에 대해서는 의문을 표했다. 전 세계 대부분 복제약 제조사가 있는 중상위 소득 국가에서 제약사들이 여전히 특허권을 행사하기 때문이다.
국경없는의사회 로히트 말파니 정책분석국장도 “GSK가 다른 업체에 모범이 되고 있지만 (이번 조치의)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최빈국 중 48개국은 세계무역기구(WTO) 협정에 따라 최소 2033년까지 특허권 행사가 제약되는 국제연합(UN)의 `저개발국 범주`에 포함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상세 내용은 IP노믹스 홈페이지(www.ipnomics.co.kr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기종 IP노믹스 기자 gjgj@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