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부채가 급증세를 이어가며 1200조원을 돌파했다.
한국은행은 작년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잠정치)이 1207조원으로 집계됐다고 24일 밝혔다. 작년 한 해 동안에만 122조원가량이 늘어나는 등 우리 경제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그동안 가계부채가 1200조원을 넘은 것으로 추정됐을 뿐 공식 수치로 확인된 것은 처음이다.
경기부양을 목표로 한 정부 부동산 규제 완화,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하 정책 등이 풍선효과로 나타났다.
연간 증가 규모도 사상 최대 기록이다. 지금까지는 2011년에 73조원이 늘어난 것이 가계신용 최대 증가 기록이었다. 작년 말 가계신용 잔액은 3분기 말(1165조9000억원)보다는 41조1000억원(3.5%)이 늘어 분기 증가 규모도 사상 최대 기록을 세웠다.
특히 가계신용 분기 증가 규모는 작년 1분기 13조원, 2분기 33조2000억원, 3분기 34조4000억원에 이어 4분기엔 40조원을 넘어서는 등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다.
정부는 가계부채 총량 관리 등에 나서며 철저히 대비하겠다고 밝혔다,
은행들이 금융당국 지침에 따라 이달 1일부터 주택담보대출 소득심사를 강화한 가계부채 관리 대책을 수도권부터 시행 중인 것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가계부채는 지금 수준만으로도 소비 여력을 줄임으로써 내수를 위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해 경기 회복에 걸림돌이 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상용 한국은행 금융통계팀장은 “여신심사 가이드라인 실시 전에 대출을 받으려는 가수요가 가세하면서 가계신용 증가 규모가 확대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2014년 2월 ‘경제혁신 3개년 계획 담화문’에서 “2017년까지 가계부채 비율을 지금보다 5%P 낮춰 가계부채의 실질적 축소를 이뤄내겠다”고 말한 바 있다.
그럼에도 가계부채 증가세는 꺾이지 않았다.
지난해 가계부채 증가율은 11.2%(121조7000억원)로 2006년(11.8%) 이후 9년 만에 가장 높았다.
특히 가계부채 증가 속도가 소득 증가율보다 훨씬 빠르다는 게 문제다.
통계청 가계 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가구당 월평균 소득 증가율은 1분기 2.6%, 2분기 2.9%, 3분기 0.7%로 각각 집계됐다.
가계부채 1207조원을 우리나라 인구 수 5000만명으로 나누면 1인당 평균 약 2400만원의 빚을 지고 있는 셈이다.
올해도 가계부채 증가세는 집단대출 영향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3곳 이상 금융기관에 빚진 금융취약층으로 분류되는 다중채무자를 작년 11월 기준 353만명으로 추정했다.
금융부채가 금융자산보다 많아 금융순자산이 마이너스 상태고 가처분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액 비중이 40%를 넘는 ‘한계가구’는 158만가구로 추산됐다.
가계신용 증감 및 잔액(단위 : 조원, %) (자료-한국은행)
* 증감액은 전분기대비, 증감율은 전년동기대비
<기관별 가계대출 증감액 (단위:조원 / 자료: 한국은행)>
길재식 금융산업 전문기자 osolgi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