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이 올가을 내놓을 아이폰7에 4.5미터 거리에서 무선충전할 수 있는 기술을 추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BGR은 17일(현지시간) 애플이 무선충전기술 신생기업 에너저스(Energous)와 이에 대한 기술 제휴를 한 것 같다고 보도했다. 또 이는 애플이 지난 2007년 터치스크린 방식인 아이폰을 내놓은 이래 가장 큰 변화를 가져올 기술이라고 덧붙였다.
보도에 따르면 애플은 4.5미터거리에서 스마트폰을 무선충전할 수 있는 에너저스사의 와트업(Wattup)무선충전기술에 대한 배타적 권리를 갖게 된 것으로 보인다.


에너저스사의 기술은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아주 작은 무선충전 칩(와트업 칩)과 4.5미터 거리 이내에서 아이폰을 충전시켜 주는 무선전송방식 충전기(트랜스미터)로 구성된다.
와트업 칩이 든 스마트폰은 방안의 어느 곳에라도 설치할 수 있는 전송기(트랜스미터)와 함께 작동하게 된다.
와트업칩을 탑재한 애플 아이폰7을 트랜스미터가 있는 사무실에 놓아두면 일하는 동안 내내 자동 충전된다. 트랜스미터를 침실에 놓아두면 아이폰은 자는 동안 충전된다.
애플이 에너저스사와 와트업에 대한 배타적 권리 계약을 맺었다면 이 무선충전 트랜스미터 기능을 갖춘 아이폰 판매를 통해 새로운 매출을 확보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에너저스사는 앞서 자사 제품을 2016년이나 2017년에 상용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만일 이 기술이 아이폰7에 포함돼 있지 않다면 아이폰7S에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애플과 에너저스 양사는 두 회사간의 파트너십에 대해 밝힌 적은 없다. 따라서 두회사가 협상상태일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디스럽티브테크리서치사의 루이스 바세네스는 애플이 에너저스사와 연관돼 있다는 증거를 최초로 발견했다.
지난 해 초 에너저스사는 ‘전세계 톱5 가전업체’로만 알려진 회사와 협정을 맺었다. 바세네스는 이 회사와 협정을 맺은 5개 유력 후보인 애플, 삼성,HP,MS,히타치 가운데 한 회사씩 지워나갔고 결국 애플을 찾아냈다.
바세네스는 “우리는 휴대폰을 만들지 않는 HP와 히타치를 제외시킬 수 있었다. 삼성은 자체적으로 칩을 만들고 있고 에너저스 와트업은 TSMC와 일하고 있기에 우리는 애플과 MS만을 남겨놓게 됐다. 사실 MS도 휴대폰을 만들고 있고 무선충전기술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한 개 회사만을 남겨 놓게 됐다. 물론 실체는 미스터리다. 애플과 파트너업체 및 직원사이의 비밀주의는 악명높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누가 이 기술을 확보하든 간에 와트업은 조만간 전세계 스마트폰 시장을 되살릴 기술상품이 될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갤럭시S6에 무선충전기능을 탑재하고 3만원 내외의 무선충전패드를 별도 판매하면서 스마트폰 무선충전을 시대를 선언했다.
아래 동영상은 에너저스의 창업자이자 최고기술책임자가 와트업 무선충전기술을 시연하는 모습이다.
이재구 전자신문인터넷 국제과학 전문기자 jk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