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전략적 사고가 돋보이는 지자체

Photo Image

지자체는 중앙정부 축소판이다. 정부와 마찬가지로 지자체가 어떤 비전과 전략, 마인드를 갖고 움직이느냐에 따라 성과도 확연히 차이 난다.

지자체 스스로 할 수 없는 사업은 중앙 정부에 어깨를 기댄다. 정부 부처가 추진하는 다양한 국책사업 등을 유치해 지역경제 먹거리로 삼는다. 사업 유치 과정에서 의지를 보여주기 위해 지자체 기관장이 직접 프리젠테이션하거나 지방비 매칭 규모를 크게 제안하는 일도 다반사다.

최근에는 한 발 더 진화했다. 전략적으로 지역 구성원과 호흡을 맞추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정부가 창조경제 구현을 위해 대학 중심으로 지원책을 쏟아내자 지자체와 직접 연관성이 없더라도 힘을 보태는 모양새다. 해당 지역 내 대학이 좋은 점수를 받고 사업을 유치할 수 있도록 말이다.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충북도가 대표적이다. 이달 초 충북도는 도내 15곳의 대학 산학협력단장을 한 자리에 불러 모았다. 취지는 정부 연구개발(R&D) 사업에 효과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하자는 것이었다. 도가 직접 부처별 올해 R&D 사업 예산과 내용 등을 분석해 책자까지 만들고 관련 내용을 대학 관계자와 공유했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정부 R&D 사업에 지역 대학이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대학과 협력해 R&D 사업을 확보하기로 했다.

지역 대학을 위해서라면 뭐든 발 벗고 나서는 부산시의 열정도 높이 살 만하다.

지난해 대학 구조개혁 평가에서 부산 지역 대학계가 다른 지역보다 비교적 나은 점수를 받을 수 있었던 데는 부산시 역할이 컸다는 후문이다. 평가 전 지역 대학 관계자를 불러 모아 미비점을 보완하고 대응방안을 마련하면서 상대적으로 좋은 성적을 낼 수 있었다는 것이다.

바람직한 현상이다. 지역은 수도권에 비해 재정형편이 열악하다. 우수한 인력도 턱 없이 부족하다. 지역 경제를 살리고 발전시키려면 산학연관이 서로 힘을 보태야만 한다.

무엇보다 지자체 역할이 중요하다. 지금처럼 경쟁이 치열한 사회에서는 남들보다 먼저 목표를 세우고 전략적으로 움직여야만 살아남을 수 있다.

Photo Image

대전=신선미기자 smshi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