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자율주행 어디까지 왔나.. 제도/인프라는 준비상황은

자율주행차 연구개발(R&D)을 위한 제도 마련과 인프라 구축에도 탄력이 붙었다. 자율주행차를 실제 상황과 가장 유사한 환경에서 시험하고 실제 도로에서도 운행하기 위해 인프라와 함께 제도 마련이 최우선적으로 필요하다.

자율주행 자동차는 갑자기 보행자가 나타났을 때와 예기치 못헌 상황에서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 시험이 필요하다. 차 간, 도로 간 등 통신이 빌딩 숲이나 다른 환경에서도 제대로 이뤄지는지 체크해 볼 필요도 있다.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이 실제 도로와 비슷한 환경이다.

미국 미시간 주립대학은 실제 도시와 유사한 M시티를 구축하고 지난해 가동했다. 미국 포드자동차가 M시티에서 자율주행 자동차 시험을 시작했다.

국내에서도 주행 시험장이 구축될 예정이다. 현대모비스는 서산 바이오·웰빙특구 110만㎡ 부지에 2500억원을 투입해 주행시험로, 내구시험로, 연구동 등을 포함한 친환경 첨단기술 연구센터를 건립 중이다. 2014년 4월 착공했으며 올 연말 완공할 예정이다. 정부도 주행 시험장을 구축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는 5월 쯤 180억여원을 투입해 K시티 구축에 착수한다. 상반기 설계 공고를 내면 내년 공사를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K시티는 미국 ‘M시티’보다 3배가량 큰 36만3636㎡(약 11만평) 규모로 다양한 이면도로, 건물밀집지역, 다양한 신호체계 등을 설치한다. 3차원 전자지도 기술, 레이더·라이더 등 센서와 통신환경을 테스트할 수 있다. 올해 자율주행차 실증지구도 지정한다. 자율주행차 실증지구는 실제도로와 유사한 환경을 조성해 안전성을 검증한다.

실제와 유사한 환경에서 더 나아가 실제 도로 시험도 반드시 필요하다. 이 때문에 미국 캘리포니아와 네바다 등 5개 주에서 자율주행 면허를 발급하고 있다. 자동차에 면허가 있기 때문에 도로에서 자동차 스스로 운전할 수 있다. 자율주행 자동차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면허 발급이 시작됐다. 구글카도 캘리포니아 주에서 자율주행 면허를 발급받아 시각장애인이 자율주행차 운전석에 탑승해 시내 도로를 다니는 모습을 공개한 바 있다. 최근 현대기아차도 캘리포니아에 이어 네바다에서 자율주행 면허를 발급받았다.

Photo Image
왼쪽부터 네바다 주 DMV(교통국) 소장 로빈 알렌더와 현대기아차 중앙연구소 임태원 상무가 자율주행차량 면허 전달식을 갖고 기념 촬영하는 모습.

일본은 지자체가 나서 지역 노인 운전자를 위한 자율주행 자동차 활성화에 나섰다. 최근 일본 가나자와 대학은 노인 운전자를 위한 자율주행 자동차를 개발하고 노토반도 스즈시 협력을 받아 해당 지역에서 시험 운행 중이다.

국내에서는 자율주행 자동차를 시험·연구 목적으로 운행할 수 있도록 허용한 ‘자동차관리법’ 이 지난해 8월 11일 개정됐다. 12일부터 임시운행허가제도가 시행된다. 허가 신청 접수 및 자율차 기능 확인과정 등을 거치면 3월부터는 본격적으로 일반도로에서 자율주행차 시험운행이 이뤄진다. 그렇다고 국내 모든 도로에서 시험할 수 있다는 것은 아니다. 시험운행 구간은 고속도로 1개 구간과 일반도로 5개 구간으로, 지난해 10월에 시험구간으로 지정됐다. 국토교통부는 대구광역시 자율주행차 규제프리존을 포함 단계적으로 시험구역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해외 정부의 자율주행 지원 역사>

해외 정부의 자율주행 지원 역사

문보경 자동차 전문기자 okm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