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은(銀)으로 덮은 종이 크로마토그래피 개발

Photo Image
정기훈 KAIST 교수

은(銀)으로 덮은 종이 크로마토그래피가 개발됐다.

KAIST는 정기훈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종이에 금속나노입자를 증착시켜 저렴하면서도 정교한 크로마토그래피용 종이를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이 연구는 광학분야 국제 학술지 ‘빛:과학과 응용(Light: Science and Applications)’ 1월 15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Photo Image
크로마토그래피 종이(왼쪽), 은나노박막이 증착된 크로마토그래피 종이(중간), 크로마토그래피용 금속나노입자를 갖는 종이(오른쪽)의 광학 사진

크로마토그래피는 특정 용매를 이용해 혼합물을 분리하는 기술이다. 가장 전통적인 종이 크로마토그래피를 비롯해 박막, 가스 등 다양한 방법으로 만든 크로마토그래피가 존재한다. 그 중 종이 크로마토그래피는 종이를 용매에 살짝 담근 후 종이 내 혼합물질 성분과 종이 인력 차이에 의해 물질이 나아가는 정도가 달라지는 것을 이용한 혼합물 분리방법이다.

Photo Image
크로마토그래피용 금속나노입자를 갖는 종이의 단면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종이 크로마토그래피는 저렴하고 다수 성분을 동시에 검출할 수 있어 광합성 산물과 다양한 생체 혼합물 분리, 검출에 응용된다.

Photo Image
비타민 혼합물의 분리 및 무표지 검출. 크로마토그래피 표면증강라만분광. 리보플라빈, 베타카로틴, 토코페롤 세 비타민 혼합물을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후 표면증강 라만분광 신호를 측정해 생체 분자 혼합물의 분리 및 선택적 검출을 보였다.

그러나 현존하는 종이 크로마토그래피 기술은 가격이 저렴한 대신 혼합물 분리 정교성이 떨어진다. 혼합물 내 분자농도가 낮으면 빛을 조사해도 성분 검출이 잘 되지 않는다. 분자를 검출하기 위해 형광 표지(label)을 붙여 빛을 조사하는 방법도 있지만 형광 표지로 인해 분자의 본래 특성이 변하게 된다.

연구팀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나노플라즈모닉스 특성을 갖는 은 나노섬을 종이 표면에 균일하게 증착하는 방법을 썼다. 나노플라즈모닉스 기술은 금속 나노구조 표면에 빛을 집광시키는 기술이다. 신경전달물질, 유전물질, 생체물질 검출 등에 응용 가능하다.

은과 같은 금속은 빛을 조사했을 때 기존보다 강한 빛을 받아들이는 특성을 가져 연구팀은 종이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기판 표면에서의 빛 집광도를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개발한 종이에 표면증강 라만 분광법(Surface-enhanced Raman spectroscopy)을 접목해 별도 표지 없이 혼합물을 분리하고 피코몰(10-12M) 수준의 극 저농도 물질도 측정하는 데 성공했다.

이 기술은 검출가능한계를 최고 수준으로 향상시켜 진단의학, 약물 검사 등 특정 성분의 분리 검출이 요구되는 다양한 분야에 응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 교수는 “진공증착, 저온 열처리 등 일반적인 반도체 공정을 이용해 정밀하고 대면적 양산이 가능한 금속나노구조를 제작했다”며 “기존 기술의 단점인 비싼 가격, 셀룰로오스의 특성 변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 교수는 “향후 저비용 무표지 초고감도 생체 분자 혼합물 분리와 분석이 가능해질 것”이라며 “신약 개발용 약물 스크리닝, 환경 지표 검사, 생리학적 기능 연구 등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했다.


대전=박희범 과학기술 전문기자 hbpark@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