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는 핀테크 산업 중흥에 초점을 맞췄다면 올해는 해외로 영토를 확장하는 데 중점을 둘 계획입니다. 인터넷전문은행, 크라우드 펀딩과 같은 새로운 서비스가 등장하고 시장에 확산될 수 있도록 지원방안을 마련하겠습니다.”
전자신문 주최 제4회 스마트금융포럼 조찬행사에 ‘2016년 핀테크, 진흥에서 확산으로’란 주제로 발표에 나선 김동환 금융위원회 전자금융과장은 한국 핀테크 산업 해외 확장과 글로벌 강국이 될 수 있는 징검다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 핀테크를 해외에 소개하고 해외 진출 관련 파이프라인을 만드는 데 방점을 찍었다. 최근 해외 수출 연구 용역 작업이 진행 중이다.
김 과장은 “실제로 해외 진출을 위한 네트워킹 강화와 영국 등 선진 핀테크 금융사 등과 교두보 마련 협업 작업이 진행 중”이라며 “KOTRA, 중기청 등 스타트업 지원기관과 협업체계 구축도 병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금융당국은 우리나라가 풍부한 성장잠재력에도 핀테크 산업이 더딘 성장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우수한 국내 IT 인프라와 94%에 달하는 인터넷뱅킹 사용률, 국민 절반이 모바일뱅킹을 사용하고 있지만 핀테크 활성화 저해 요인이 여전히 발목을 잡고 있다고 진단했다. 핀테크 기업과 금융사, 정부 소통 부족, 오프라인 중심 경직된 규제, 정보보안 우려, 발달된 IT 인프라에 안주하려는 습성이 시장에 팽배하다고 자성했다.
김 과장은 “금융산업 정체 등으로 이제 새로운 성장 돌파구가 절실하다”며 “핀테크 산업 육성으로 국민편익을 향상하고 금융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겠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정부는 핀테크 산업 진입장벽 완화와 규제 패러다임을 사전에서 사후로 전환했다. 전자금융업 등록 자본금을 완화하고 등록절차도 간소화했다. 금융사고 발생 시 금융사가 1차 책임을 지게 했던 규제도 공동책임제로 전환하는 등 핀테크 산업 진입 규제를 대폭 정비했다.
원활한 시장 진입이 가능케 됐다.
가장 문제로 지적됐던 기업과 금융사, 정부 간 협력채널을 구축하고자 핀테크 지원센터를 지난해 3월 개소했다. 민관 합동 규제 발굴 채널 가동 등 수평 생태계 조성에도 나섰다.
지난해 인터넷전문은행, 보험다모아, 크라우드 펀딩, 원클릭 간편 결제 등 혁신적 핀테크 서비스가 출현하는 등 외형이 확장됐다.
여세를 몰아 토종 핀테크를 해외로 수출하는 작업에 착수한다.
김 과장은 “핀테크 산업 특성상 시장 선점이 중요하고 국경 없는 서비스를 지향하기 때문에 올해는 해외 시장 개척에 다양한 지원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며 “빅데이터 활성화와 핀테크 수출 인프라 확충, 비대면 실명확인 전 금융권 확대 등 혁신 상품 개발과 서비스를 창출하는 데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길재식 금융산업 전문기자 osolgi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