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4차 핵실험]원안委, 비상대책상황반 꾸리고 방사능 측정 착수…“인공지진” 확정

원자력안전위원회(이하 원안위)는 북한 핵실험 이후 즉시 비상대책 상황반을 꾸리고 방사능 측정에 착수했다.

위원회 산하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은 전국 134개 국가환경방사선자동감시망을 이용해 핵실험 중 발생할 수 있는 방사성 물질 분석을 시작했다. 핵실험시에는 방사성 제논(Xe) 등 일부 방사성물질이 외부로 누출되며 이를 분석해 핵활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Photo Image
북한은 6일 특별보도를 통해 첫 수소탄 핵실험을 실시했다고 발표했다. 서울 용산 가전매장에서 시민이 북한 핵실험 관련 뉴스를 TV와 스마트폰으로 확인하고 있다.김동욱기자 gphoto@etnews.com

현재 우리나라에는 최첨단 방사성 제논 탐지장비 2대, 해상선박과 항공기를 이용한 이동식 탐지장비가 있다. 이 장비로 공기를 포집한다. 전국 134개 국가환경방사선자동감시망 등을 통해 방사능 측정을 수행 중이다.

핵실험에서 발생한 방사성 물질이 시료를 포집해 분석하는데 통상 3~4일이 소요된다. 그러나 환경방사선 분석방법으로 북한에서 한 실험이 원자폭탄 실험인지 수소폭탄 실험인지 확인하는 것은 어렵다. 수소폭탄은 원자폭탄과는 작동 방식이 다르지만 원자폭탄 실험과 같은 방사성 물질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날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강릉지방방사능측정소는 대기 중의 방사선 물질을 감시해 방사능 오염 여부를 측정했다. 강릉측정소는 전국 지방방사능측정소 중 북한 핵실험 장소와 가까운 곳이다. 고용량 공기채집장치 등 채집장비로 강수와 낙진 등으로 방사능 오염 여부를 파악한다.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에 보내져 방사능 영향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원안위는 기상청, 원자력안전기술원, 원자력통제기술원 등 유관기관과의 긴밀한 협조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기상청은 이날 오전 북한에서 발생한 지진이 폭발로 인한 인공지진이라고 최종 확정·발표했다. 지진 규모는 4.8, 폭발 규모로는 TNT 4~6킬로톤이다. 우리나라 지진계에는 전국적으로 다 감지되지만 사람이 느낄 수는 없다. 핵 또는 수소 폭탄인지 여부는 원자력안전위원회와 지질자원연구원 등 관련기관과 협의 후 확정·발표된다.

고윤화 기상청장은 브리핑에서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인근에서 진도 4.8 규모의 지진이 발생했다”며 “지진의 파형, 진폭으로 볼 때 인공지진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정확한 지진 발생 시점과 장소는 이날 오전 10시 30분 1초, 함경북도 길주군 북쪽 북위 41.30도, 동경 129.09도로 확정했다. 지난 2012년 3차 핵실험 지점에서 약 북쪽으로 1.2㎞ 떨어진 곳이다. 최초 파악 지점(북위 41.39도, 동경 129.41도)보다 약간 더 서쪽으로 이동해 양강도 풍계리 핵실험장에 조금 더 가까워졌다.

핵실험으로 인해 발생한 지진강도로 봤을 때 이번 4차 실험의 폭발위력은 지난 2차·3차 핵실험의 중간쯤으로 분석됐다. 국가정보원은 이날 “지난번 3차 핵실험(위력)은 7.9㏏, 지진파 규모는 4.9가 나왔는데, 이번에는 (위력이) 6.0㏏, 지진파는 4.8로 더 작게 나왔다”며 “수소폭탄은 (위력이) 수백㏏이 돼야 하고 실패해도 수십㏏이 돼야 한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폭발 위력상 북한 발표대로 수소폭탄으로 받아들이긴 무리가 따른다는 분석이다.

기상청은 “그간 북한에서 발생한 인공지진은 모두 핵실험이었고 발생 지역도 모두 풍계리였다”며 핵실험이 이뤄진 것은 인정했다.


송혜영기자 hybrid@etnews.com, 함봉균기자 hbkone@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