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512/755520_20151217164519_160_0004.jpg)
5G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기술이 처음 공개됐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원장 이상훈)은 미래 SNS서비스 핵심기술 3건과 5G 관련 원천 요소기술 4건을 각각 17일 발표했다.
‘미래 SNS’와 관련해서 ETRI는 18일 제7동 국제회의장 및 운동장 일원에서 프리 5G핵심원천기술 시연회를 개최한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512/755520_20151217164519_160_0001.jpg)
이번에 시연하는 ‘미래 SNS’는 5G기술을 시범 적용하기 위한 프리(Pre) 모델이다. 이동 중 사용자 간 콘텐츠를 즉각 공유할 수 있다. 주변 사물과 기가급 동영상을 주고받으며 소통 가능하다.
프리 모델에는 모두 3가지 기술이 적용됐다. KTX와 같이 고속 이동 중에도 기가급 통신이 가능한 초고속 이동무선백홀 기술(MHN)과 기가급 대용량 데이터를 10㎝ 이내에서 순간 무선 전송하는 근접통신 ‘징(Zing)’, 이동 중 사용자 간 기가급 동영상 등 콘텐츠를 실시간 주고받을 수 있는 모바일 엣지 플랫폼 등이다.
ETRI는 5G 관련 핵심 원천기술도 선보였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512/755520_20151217164519_160_0002.jpg)
단말에 기가급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5G 이동통신 시스템을 공개했다. 이 기술은 내년 4월까지 복수 단말을 이용한 핸드오버 기술을 개발해 시연할 계획이다.
‘주파수는 그대로, 속도는 2배로’라는 기치로 전이중(인-밴드 풀 듀플렉스) 통신 기술도 개발했다. 주파수 이용효율을 최대 2배까지 높일 수 있다.
단일 RF체인을 이용한 다중안테나(MIMO) 송수신 기술도 공개했다. 이 기술은 안테나 하나를 마치 4개가 작동하는 것처럼 쓸 수 있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512/755520_20151217164519_160_0003.jpg)
이외에 소형셀 기지국 SW기술도 개발했다. 이 기술은 소형셀에서 매크로 기지국과 동일한 무선전송 속도를 낼 수 있다.
정현규 ETRI 통신인터넷연구소장은 “이번 시연회에서는 소형셀 SW도 선보일 예정”이라며 “중소기업 사업화 관련 기술 개발도 병행하며 5G 생태계를 만들어 갈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박희범기자 hbpar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