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과 경남 고성군이 국토교통부 선정 최우수 공간정보사업 집행기관으로 뽑혔다. 또 지난해 실시한 공간정보 사업 가운데 데이터베이스(DB) 구축 부문이 전체의 84.2%를 차지했다.
국토부는 2014년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가 시행한 공간정보사업 240개(중앙부처 42개, 지자체 198개)를 대상으로 실시한 집행실적 평가에서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9일 밝혔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512/752055_20151209161609_656_0001.jpg)
중앙부처에서는 통계청 ‘인구 센서스 공간정보 통계 DB 구축사업’이 최우수 사업으로 선정됐다. 통계청은 4만185건 인구가구부문 개별 공간DB와 세종시 특별센서스 개별 공간DB를 구축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 데이터 관리시스템과 개발자 지원시스템 등을 구축했다. 통계청은 기존 개인정보보호관련 자료제공 및 공유서비스 확대제공에 제도적으로 한계가 있어 통계법 제3조, 제29조에 공간통계데이터 관련 행정자료 등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해 제공범위를 확대했다. 우수상은 환경부 ‘환경영향평가 정보지원시스템 운영사업’과 국토부 ‘3차원 공간정보 구축사업’이 차지했다.
지자체 부문 최우수상은 경남 고성군 ‘웹 시설물 관리시스템 고도화사업’에 돌아갔다. 이 사업은 2억9100만원의 예산으로 택지정보·도시계획·국가지명·산업입지·교통CCTV·새주소·국가교통정보 등 16개 분야 87종 공간정보를 민간에 개방해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서울특별시 ‘2014년 하수도관리 전산시스템 기능고도화 및 DB 정확도 개선사업’과 경기도 오산시 ‘지리정보시스템 유지보수 사업’이 우수사업으로 선정됐다.
지난해 실시한 공간정보 사업에서는 DB 구축 부문이 유통·활용·기술개발 부문을 제치고 전체의 4분의 3 이상을 차지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공간정보사업 가운데 DB 구축이 많은 것은 공간정보DB가 행정업무를 수행하는 데 중요한 기본자료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지자체 등이 행정정보를 국민에게 효과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주문정기자 mjjo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