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美 블랙프라이데이...급팽창하는 해외 직구

Photo Image

미국 최대 규모 할인행사 시즌 ‘블랙프라이데이(Black Friday)’가 이번 주말로 다가왔다. 미국 유통업계는 추수감사절(11월 마지막 주 목요일) 이튿날인 블랙프라이데이를 기점으로 성탄절까지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미국에서 연중 최대 소비가 발생하는 기간이다.

블랙프라이데이 기간 동안 온라인·모바일 플랫폼으로 현지 상품을 구매하는 해외 직접구매(직구) 수요는 폭증하고 있다. 국내 시장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고 해외에서만 판매하는 프리미엄 상품을 손쉽게 구매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글로벌 결제 시스템과 배송 서비스 다양화에 따라 블랙프라이데이를 겨냥한 해외 직구족이 급증할 것으로 전망된다.

Photo Image
미국 최대 규모 할인행사 시즌 ‘블랙프라이데이(Black Friday)’가 이틀 앞(현지시각 기준)으로 다가왔다. 블랙프라이데이 기간 미국 베스트바이에서 한 고객이 삼성전자 TV를 구매했다.

◇해외 직구족, 블랙프라이데이 ‘득템’ 노린다

현대경제연구소는 최근 발행한 보고서에서 “미국은 최대 해외직구 대상국”이라며 “지난 2011년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발효 이후 블랙프라이데이 기간에 집중적으로 해외직구 수요가 발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해외직구 서비스 전문업체 몰테일이 2011년 블랙프라이데이 기간 동안 기록한 배송 건수는 2만3000건으로 3200건을 기록한 전년 대비 일곱 배 이상 늘었다. 지난해는 6만건을 웃돈 것으로 집계됐다.

몰테일 관계자는 “지난해 블랙프라이데이 기간 일일 주문건수는 평소 대비 4.5배가량 많았다”며 “올해는 작년 대비 20%가량 늘어난 7만2000건 규모를 형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블랙프라이데이 해외 직구족 수요는 역대 최대를 형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언어장벽, 한정된 상품 거래 플랫폼 등 진입 장벽 탓에 소수 구매자만 이용했던 해외직구 서비스가 최근 수년간 다양화됐기 때문이다.

정부 해외직구 장려 정책도 블랙프라이데이 기간 시장 수요를 확대하는 데 일조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지난해 배송비를 포함해 200달러 이하 직구 품목을 관세 면제 대상으로 확대했다. 해외 직구를 위축된 민간 소비 회복 발판으로 삼겠다는 것이다. 그동안 부가세 부담 탓에 구매하기 어려웠던 상품을 해외직구로 구매할 수 있게 됐다.

정부는 100달러 이하 상품 통관 소요 기간을 줄이고자 통관 절차를 간소화했다. 최장 3일 이상 걸렸던 통관 소요 기간이 최단 반나절로 줄면서 상품 수령까지 걸리는 시간도 크게 줄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현지 온라인 쇼핑몰이 한국 고객을 유치하려 직배송 서비스, 한국어 번역 서비스 등을 도입하고 있다”며 “올해 블랙프라이데이에는 초고화질(UHD) TV 등 고가 전자기기를 저렴한 가격에 구매하려는 해외 직구족이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Photo Image
해외직구 서비스 전문업체 `몰테일` 미국 뉴저지 센터

◇해외직구 시장 급팽창

블랙프라이데이를 시발점으로 탄생한 국내 해외직구 시장은 매년 급팽창하고 있다. 복잡한 거래 방법이 간소화되고 기존 해외직구 경험자 재구매가 이어지면서 소비자층이 확대된 것으로 분석된다.

관세청에 따르면 국내 해외직구 거래금액은 지난 2010년 2억7000만달러(약 3130억원)에서 지난해 15억5000만달러(약 1조7598억원)로 증가했다. 연 평균 54.1%에 달하는 초고속 성장세다. 같은 기간 해외 직구 건수는 약 358만건에서 1553만건으로 다섯 배가량 늘었다.

해외직구가 민간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빠른 속도로 상승하고 있다.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국내 소매판매액 대비 해외직구 비율은 지난 2010년 0.1% 수준에서 지난해 0.5%를 기록했다. 올해는 0.7% 수준을 기록할 전망이다.

그동안 미국에 집중됐던 해외직구 대상국도 확대되고 있다. 미국 상품이 해외직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수입통관 건수 기준)은 지난 2010년 82.1%에서 올해 75.0%로 낮아질 전망이다. 유럽, 일본, 중국 상품 비중은 각각 11.1%, 4.7%, 4.6%로 추산된다. 최근 환율이 크게 하락한 유럽과 일본을 중심으로 해외직구 수요가 늘 것으로 보인다.

현대경제연구원은 해외직구 시장 규모가 오는 2020년 최고 207억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결제 시스템 등 인프라가 지속 확대·개선되고 현재 증가세를 유지해 연 평균 54.1% 성장률을 기록한다고 가정한 결과다.

연구원은 산업수명주기를 감안해 향후 해외직구 수요가 주춤할 수 있다는 보수적 시나리오를 적용해도 최소 65억달러 규모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연 평균 27% 성장률을 적용해 산출했다. 산업수명주기는 특정 산업이 성숙기에 들어서면서 성장속도가 둔화되는 특징이 있다.

연구원 관계자는 “해외직구 산업은 소비자 후생 향상, 물류 서비스 등 후방산업 부가가치 견인 등 다양한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면서도 “국산 소비재 시장 점유율이 하락해 제조사가 경영상 부담을 받게 될 부정적 효과도 상존한다”고 설명했다.

◇무방비 한국시장, 대응책 마련해야

해외직구 상품은 제품에 이상이 있어도 거리와 시간을 감안하면 쉽게 반품 신청을 하기 어렵다. 클릭 몇 번으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반면에 반품은 소비자가 직접 현지 언어로 사유를 설명해야 한다.

환불, 오배송 등에도 소비자가 직접 대응하기 어렵다. 전자상거래법, 소비자보호법 등 국내법 적용을 받지 않는 해외 품목이 유통될 수도 있다. 유통업계는 이 같은 국내 소비자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제도적 장치와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국내 소비재 시장 위축 등 해외직구 부정적 효과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됐다. 가격·품질 경쟁력을 높이는 등 차별화 전략을 추진해 소비자 시선을 내수 시장으로 돌려야 한다는 것이다. 업계는 아마존, 알리바바 등 글로벌 전자상거래 업체와 경쟁하려면 국내 사업자도 차별화된 배송서비스와 결제시스템을 갖춰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해외 소비자를 국내 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끌어들이는 ‘역(逆)직구’는 해외직구에 대응하기 위한 신흥 산업으로 각광받는다. 중국을 중심으로 한국 온라인 쇼핑몰에서 화장품, 식품 등을 구매하는 해외 소비자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역직구 시장 규모는 지난 2010년 210만달러에서 지난해 4460만달러로 확대됐다. 연평균 성장률은 114.5%다. 역직구 쇼핑몰은 2013년 4000개 수준에서 1만5000개로 늘었다. 하지만 해외직구 시장 규모와 비교하면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정부는 지난 5월 역직구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지원 대책을 마련했다. 전자상거래 사업자가 자유무역지역을 물류거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통관 절차 간소화를 추진한다. 수출 신고 절차, 특송업체 등록 절차도 지속 완화할 방침이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교육 프로그램과 인프라를 확대해 중소 온라인 쇼핑 업체가 역직구 산업에 진입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야 한다”며 “사업자는 타깃 국가에 적합한 다국어 언어 서비스와 결제 시스템을 갖춰 경쟁력을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희석기자 pioneer@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