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반도체 정책 ‘인력 지원’ 총력…대기업 퇴직 전문가 관리도 고려

정부가 반도체 산업육성 초점을 ‘인력’에 맞추고 대학 인재양성과 기업 퇴직전문가 관리 방안을 모색한다. 반도체 산업 성장 근간인 대학 연구개발 인재양성 체계가 무너지고 반도체 전문 인력이 해외로 빠져나가는 문제를 해결하는 게 목적이다.

김용래 산업통상자원부 소재부품산업정책관은 지난 27일 전자신문·산업부·한국반도체산업협회가 공동 주최한 ‘반도체 산업 발전전략 좌담회’에서 이 같은 반도체 산업 지원책을 공유했다.

산업 토양이자 뿌리인 인력을 풍부하게 양성해 인력난에 허덕이는 반도체 전후방 산업을 지원한다는 목표다. 최근 중국에서 반도체 전문 인력을 대거 영입하는 등 기술유출이 우려되고 있어 기업과 함께 퇴직 전문가를 관리·활용하는 방안도 강구할 예정이다.

대학 인력양성은 지난 2013년 시작한 ‘미래 반도체 소자 개발사업’ 모델을 적극 활용한다. 이 사업은 기업과 정부가 일대일로 자금을 투입하고 기업이 필요한 미래 반도체 기술을 대학이 연구개발하는 모델이다. 정부 연구개발 사업비를 기업이 아닌 대학 학부·대학원생이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 반도체 전문인력을 양성할 수 있다.

과제는 반도체 수요기업과 협의해 필요한 미래기술 분야를 도출하고 연구 과정을 서로 협의할 수 있도록 꾸며졌다. 특정 기업에 종속된 과제가 아니라 반도체 업계에서 두루 필요한 공통 기술이어서 국가 반도체 연구 수준을 끌어올리는 효과도 기대된다.

김용래 국장은 “최근 중국이 LCD에 이어 OLED 개발에 투자했고 메모리 반도체 산업에도 진출하고자 적극적으로 세계 시장에서 전문가를 영입하는 등 움직임이 활발하다”며 “분명 국내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에 위협이 되고 있어 근본적 경쟁력을 강화하려 인력 문제에 정책 초점을 맞췄다”고 설명했다.

당장 인력유출 문제를 차단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수년간 제기돼 온 반도체 인력부족 문제도 더는 미룰 수 없다는 판단이다. 업계는 대기업에 인력양성 기능을 맡기다시피 한 현행 체계에서 미래 경쟁력을 기대할 수 없다는 지적을 꾸준히 제기해왔다.

김 국장은 “반도체에 이어 지난 9월 디스플레이 부문에도 이 모델을 적용해 기업과 정부가 함께 대학 인력양성을 지원하는 사업을 시작했다”고 말했다.

기업의 퇴직 전문가 관리도 처음으로 체계적 정책으로 다루는 방안을 고려한다. 특히 반도체 분야에서 중국으로 인력유출이 발생하고 있어 기업과 함께 방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김 국장은 “실질적으로 국내 반도체 대기업이 관리하는 퇴직자가 10%에 못 미치는 것으로 파악했다”며 “50대 퇴직자가 많은데 이들이 주요 영입대상이 되고 있어 대학에서 퇴직자를 인력양성에 투입하는 산학협력 교수 모델 등 기업·대학과 논의해 대책을 모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배옥진기자 withok@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