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 세계 반도체 기업 간 거대 인수합병(M&A)이 잇달아 발생했지만 전체 반도체 시장 연구개발(R&D) 규모에는 큰 변화가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미세공정 개발 난이도가 높아지고 첨단 반도체 개발 경쟁이 더 치열해지면서 외부 반도체설계자동화(EDA) 소프트웨어 전문 기업과 협력 수위는 점점 높아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월든 라인스 멘토그래픽스 회장은 1일 서울 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멘토 포럼’을 열고 사물인터넷(IoT) 시대 대비 전략을 밝혔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509/719896_20150901150902_743_0001.jpg)
월든 라인스 회장은 “상반기 19건 인수합병이 있었고 올해 총 38건 인수합병이 있다고 가정하면 2011년(34건), 2014년(32건)과 큰 차이가 없다”면서 “하지만 규모 면에서는 1660억달러로 7~8배 급속히 커졌다”고 설명했다.
라인스 회장은 이어 “하지만 올해 이런 흐름은 일시적이며 전체적으로 봤을 때 새로운 소규모 기업이 대기업보다 빠르게 성장하는 기존 흐름은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고 분석했다.
올 상반기에는 인텔-알테라, NXP-프리스케일, 아바고-브로드컴 등 대형 반도체 기업 간 인수합병이 벌어졌다.
멘토그래픽스 조사에 따르면 상위 10개 반도체 기업의 시장 점유율은 50% 수준으로 1970년대부터 2014년까지 큰 변화없이 유지됐다. 반면 상위 50개 기업 점유율은 2003년부터 2014년까지 약 10% 감소했다.
월든 라인스 회장은 “이는 새로운 소규모 기업이 반도체 시장에 진출해 대기업보다 더 빠르게 성장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기업 간 통합도 일어나지만 반대로 신규 기업이 빠르게 성장하는 추세도 유지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지난 상반기 대형 인수합병이 잇달아 발생한 원인을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려는 기업 요구 △낮은 금리 △정부 규제환경 변화로 꼽았다.
월든 라인스 회장은 “당장 반도체 회사 규모가 커지면 단위 제조원가를 낮춰 이익률을 높이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으나 기업 규모가 커지는 게 곧 이익률 상승과 직결하지는 않는다”고 지적했다.
예를 들어 세계 반도체 시장 매출 1위는 인텔이지만 영업이익률을 기준으로 하면 리니어테크놀로지가 1위다. 양사 영업이익률은 각각 28%, 46.3%다. 뒤를 이어 ARM, TSMC, 난야, 자일링스, 퀄컴 순위로 이익률이 높다. 회사 규모보다 어떤 비즈니스를 하고 어떤 기업과 경쟁하는지가 더 중요해진다는 설명이다.
대형 인수합병으로 기업 덩치가 커지더라도 연구개발 투자비는 전체 매출의 14% 비중을 차지하는 기존 흐름이 유지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전체 반도체 시장 매출이 성장하면서 연구개발 비용도 상승했지만 투자 비율은 일정하다는 해석이다. EDA 소프트웨어 투자비중은 총 매출의 2% 수준을 계속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EDA 시장에서는 제품 개별로 이뤄지던 반도체 디자인·검증 과정이 시스템 단위로 옮겨갈 것으로 내다봤다. 내부적으로 사용하는 툴 대신 외부 전문기업 툴을 최적화해 비용 효율성을 높이는 변화도 꾸준할 것으로 예측했다.
그는 “반도체 디자인과 설계 검증에 이르는 과정에서 가상 디자인 등을 시스템 단위로 진행하는 변화가 있어야 멀티칩이나 새로운 칩 수요 시장에 대응할 수 있다”며 “기업 간 통폐합이 거세질수록 시장에서 검증받고 많이 도입된 툴 위주로 살아남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배옥진기자 witho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