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재산(IP) 전문기업 윕스가 ‘기술가치평가’ 사업에 신규 진출한다.
윕스는 지난 20일 오후 서울 상암동 중소기업DMC타워에서 ‘발명의 평가기관’ 지정 기념 현판식을 열었다. 사내 관련 부서인 ‘기술가치평가센터’ 출범식도 함께 진행됐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508/716315_20150825111047_097_0001.jpg)
발명의 평가기관이란 IP의 기술성과 사업성을 전문적으로 평가하는 기관을 말한다. 기업 등이 보유한 개별 기술의 경제적 가치를 화폐로 환산·평가한다. 대신 평가기관은 일정 수수료를 해당 기업으로부터 받는다.
감정평가를 받을 수 없는 △기술 △IP △디자인 등 ‘무형자산’이 평가 대상이다. 평가 결과는 △현물출자 △기술인증 △기술거래 △IP 금융 등을 통한 자금 조달 수단으로 활용된다.
이날 행사에는 이형칠 윕스 대표와 김정중 신임 부사장 겸 기술가치평가센터장을 비롯해 백만기 한국지식재산서비스협회장, 김호원 전 특허청장 등 50여명이 참석했다.
이 대표는 기념사에서 “기술가치평가센터 출범으로 제2의 창업을 하는 기분”이라며 “지난 16년간 윕스가 축적한 기술 조사·분석 역량이 기술가치 평가의 밑거름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윕스에 부사장급으로 신규 영입된 LG전자 임원 출신 김정중 기술가치평가센터장은 “과거 민간기업에 근무하면서 IP 거래에 대한 갈증이 많았다”며 “업체가 보유한 IP가 기업 가치와 함께 인정받을 수 있도록 IP 거래 활성화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지난 5월 특허청은 윕스와 특허법인 다래 등 두 곳을 민간업체 가운데 처음으로 발명평가기관에 지정했다. 기존 10개 공공 발명의 평가기관에 이들 두 업체가 더해져 현재 총 12개 기관이 지식재산 가치를 평가하고 있다.
IP노믹스=이기종기자 gjgj@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