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 미래모임]패널토론

국내 건설한 유비쿼터스시티(u시티) 경험을 기반으로 해외 진출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해외 성공 및 실패 사례를 적극 분석해 국내 u시티 건설에 반영하자는 제안도 나왔다.

이창호 삼성SDS ST사업그룹 부장은 “중국이 u시티특별법 기반으로 50만평 이상 규모 도시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해 u서비스를 개발한다”며 “2030년까지 도시진척화 계획에 따라 도시 비율을 현 40%에서 60%로 늘린다”고 말했다. 중국의 u시티 시범도시는 300개다. 2020년까지 30조원 규모 u시티 사업이 추진된다. 향후 현 단위까지 u시티가 건설되면 5만개에 이른다.

이 부장은 엄청나게 확대될 중국 u시티 시장 공략을 위해 다양한 분야에 있는 기업 간 컨소시엄을 구성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이 부장은 “국내 대기업과 중소기업은 물론이고 시스템통합(SI), 솔루션 등 각 분야별 기업 간 컨소시엄 구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기존 SI 사업보다는 솔루션 기반 공략과 현지 업체와 파트너 관계를 갖는 것도 방법이다.

해외에서 진행된 다양한 사례를 연구, 국내 u시티에 적용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이재용 국토연구원 국토정보연구본부 연구위원은 최근 40개국 대상으로 진행한 u시티 상세 조사 결과를 설명했다.

다른 나라가 u시티를 추진한 이유는 크게 두 가지다. 유럽은 유럽연합(EU) 차원에서 기후변화 조약에 따라 추진됐다. 이 연구위원은 “유럽 u시티는 기후변화라는 명확한 초점을 갖고 있다”며 “표준화가 잘 돼 있다”고 말했다. 아시아와 중국은 도시인구가 늘어나면서 발생되는 각종 문제 해결을 위해 도입했다. 그 중 교통 문제가 가장 큰 배경이다.

우리나라 과거 u시티는 전통적인 아시아국가 형태인 신도시 중심으로 진행됐다. 이 연구위원은 “대규모 택지사업이 줄어드는 우리나라 상황에서 유럽식인 정보연계 중심으로 전환돼야 한다”고 전했다. 이러한 두 가지 방식의 수행경험을 기반으로 해외에 진출해 현지에 맞는 u시티 건설 컨설팅과 구축을 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 이 연구위원 생각이다.

u시티 건설에 있어 공공과 민간 역할이 구분돼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위성복 한국도시주택공사 도시시설처 u시티사업단장은 “통합센터 중심으로 공공서비스는 공공기관이 담당하지만 그 외 다양한 서비스는 민간영역에 맡겨야 한다”며 “이를 위해 u시티 정보 인프라를 유연하게 갖춰야 한다”고 제시했다. 여러 지자체가 공동으로 u서비스를 이용하는 것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대안이다.


신혜권기자 hkshi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