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4곳의 특허관리전문회사가 새로 설립되고 이들 회사간 특허를 사고팔 수 있는 장터도 마련된다.
기획재정부와 특허청에 따르면 정부는 대학과 정부 출연연구기관이 보유한 특허의 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특허관리전문회사(NPE)를 육성하는 등 지식재산 거래 활성화에 나선다.
특허관리전문회사 육성에 필요한 자금은 중소기업청 산하 한국벤처투자가 운용하는 모태펀드를 활용하며, 최대 자금 지원 규모는 200억원대로, 초기에는 100억원 정도가 투입될 예정이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506/697610_20150622142538_332_0001.jpg)
정부는 국내 특허관리전문회사가 2곳에 불과한 만큼 우선 3~4개 회사의 창업을 지원해 시장 형태를 갖춰나갈 방침이다.
정부는 특허거래소 형태의 인프라만 만들고, 운영권은 민간에 맡겨 자율적으로 거래 수수료 등을 결정하도록 할 방침이다.
정부 개입으로 시장질서가 왜곡되는 것을 막고, 외국 회사들도 특허거래소에 자유롭게 참여해 특허 거래 규모를 확대하고 형태도 다양화하기 위해서다.
이러한 정부 정책은 대학 및 출연연구기관의 연구 성과물 활용도를 높이고, 특히 전문인력을 보유한 일부 대기업을 제외하고 거의 이뤄지지 않는 지식재산 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정부는 특허거래가 일반화되면 연구기관의 연구개발(R&D) 성과도 자연스럽게 높아질 것으로 기대했다.
※ 상세한 내용은 IP노믹스 홈페이지(www.ipnomics.co.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김달기자 k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