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현실 콘텐츠산업을 미래 먹거리로 키워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최근 우리 기업과 손잡은 구글이 값싼 ‘가상현실기기(HMD:Head Mount Display)를 선보이면서 새로운 모바일 콘텐츠 소비가 세계적으로 확산될 것이란 기대감 때문이다.
국회 박창식 의원은 최근 구글이 우리나라 중소기업을 비롯한 여러 업체와 제휴를 맺고 안경 형태 HMD를 생산하는 등 가상현실 기기 보급에 나서자 관련 콘텐츠 개발을 위한 법제도 정비에 나서야 한다고 제시했다.
박 의원은 “HMD가 지금처럼 저렴한 가격에 이뤄지? 사람들이 가상현실에 흥미를 갖게 돼서 불과 1~2년 내면 우리는 또 다른 시대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가상세계를 체험할 수 있는 HMD 기술이 관광·체육·영상·건축·예술 등 사회 대부분의 영역에서 영향을 줄 것이란 견해다. 실제 최근 국내 기업인 유원컴텍과 고글텍이 제휴해 만든 HMD는 스마트폰 착탈식으로 가격이 100달러 미만이다. 3D 입체 영상을 100인치 와이드스크린 급에서 시청할 수 있게 하는 장비다. 일반 스마트폰 UHD와 풀HD 디스플레이를 활용해 가상현실을 체험할 수 있다. 일반 2D영상도 입체감을 느끼며 시청이 가능하도록 2.2D 특허기술을 적용한 앱도 개발했다. 이 제품은 구글 인증을 받고 미국 아마존과 이베이에서 판매 될 예정이다.
불과 몇 년 전 ‘매트릭스’와 같은 SF영화 속에서나 존재했던 가상현실이 현실에 근접한 셈이다. 수백달러도 안 되는 안경형태 HMD와 스마트폰만 있으면 누구나 가상현실을 경험할 수 있는 셈이다.
박 의원은 “HMD가 만드는 가상세계는 360도 카메라를 이용해 공연장이나 박물관 등을 촬영해 만들어지고, HMD사용자는 해당 장소에 직접 가지 않더라도 현장에 있는 착각을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여기서 박 의원이 핵심으로 꼽는 것은 콘텐츠산업이다.
작 의원은 “HMD와 같은 하드웨어는 상당 수준 발전했지만, 이를 즐기는 콘텐츠의 양과 질은 매우 부족하다”며 “이제는 관련 콘텐츠 개발과 많은 사람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플랫폼 구축에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유튜브가 세계인의 동영상 콘텐츠 ‘항아리’로서 감상하는 것처럼, 가상현실을 즐길 수 있는 콘텐츠를 모아놓은 ‘항아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박 의원은 더불어 “가상현실 콘텐츠는 초기단계에 불과하지만, 성장잠재력과 활용가능성이 무한한 킬러콘텐츠”라며 “관련 인력과 기술에 정부 지원이 가능하도록 법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경민기자 km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