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과학관 전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융합기반의 과학 콘텐츠 개발에 나선다.
국민의 과학적 소양을 높이는 것은 물론이고 해외 전시물을 대체해 로열티 절감 효과도 기대된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503/666291_20150319160107_077_0001.jpg)
미래창조과학부는 과학문화예술 융합 기반의 콘텐츠 개발을 위해 ‘과학문화융합콘텐츠 연구개발사업’을 신규 추진한다고 19일 밝혔다.
독창적인 융합 과학 콘텐츠를 개발하고, 이를 과학관과 산업계에서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 올해 처음 시도하는 사업이다. 그동안 국내 과학관에서는 독자적인 콘텐츠 확보에 어려움을 겪어왔으며, 해외 유명 전시 콘텐츠를 로열티를 주고 도입하는 경우가 많았다.
미래부는 산학연이 참여하는 R&D를 통해 상상력과 창의력 기반의 과학 전시 콘텐츠를 개발하고, 결과물은 전국 과학관에서 실제 전시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장기적으로 해외 과학 전시 콘텐츠 시장 진출도 노린다.
이를 위해 연구개발 과제 수행 시 상세 설계도면과 시제품 개발, 지식재산권 확보를 통한 성과물 공유 및 활용이 가능하도록 할 계획이다.
선정할 콘텐츠 분야를 정하지는 않았지만, 하나의 주제에 대해 원리부터 설계, 시제품 제작까지 원스톱으로 수행할 수 있는 과제를 선정할 계획이다. 체험형 전시콘텐츠나 과학과 인문·예술이 융합된 콘텐츠 위주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단순한 나열식이나 고정형 전시물, 주입식 이해를 위한 전시물 등은 배제한다는 방침이다.
과학관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할 수 있도록 과제 참여 연구원에 과학관 연구관이나 연구사가 반드시 참여하도록 한 것도 눈에 띈다.
미래부는 올해 3~4개의 과제를 선정해 과제당 2억5000만원 내외를 지원할 계획이다. 지원기간은 최대 3년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국내 전시 산업 역량을 키우고, 과학 콘텐츠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올해 처음 시작하는 사업”이라며 “궁극적으로 국내 과학문화 경쟁력을 높여 나가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권건호기자 wingh1@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