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2013년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를 분석한 결과 58%가 초등학교 반경 300m 내에서 발생했다. 갓 입학한 만 7세 어린이 사고 비율이 가장 높았다. 서울시는 올해 사고 발생 상위 50개 학교에 과속방지턱 등을 설치한다. 교육청과 협력해 저학년 대상 교통안전 교육도 강화한다.
서울시는 공공과 민간이 보유한 교통사고내역·날씨·유동인구·위험운전행동·차량속도 등 1400억건의 빅데이터를 분석해 교통사고 방지 대책을 수립한다고 16일 밝혔다. 서울시 빅데이터 분석 활용 정책은 올빼미버스 노선 최적화, 택시 운행 데이터 분석에 이어 세 번째다.
서울시는 상반기 각종 빅데이터를 분석해 교통사고 발생 상위 50개 초등학교에 과속방지턱 등 교통안전시설을 설치한다. 2학기부터 교육청과 협력해 초등학교 저학년 대상으로 교통안전 교육을 강화한다. 내년부터 어린이 교통사고를 줄인 우수학교를 선정, 교통안전 모범학교를 지정한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503/664684_20150316152113_424_0001.jpg)
어르신 보행자 교통사고 다발지점 시설도 개선한다. 맞춤형 교육 등을 상반기부터 시행해 어르신 보행자 교통사고를 줄인다. 전통시장, 공원 등에 무단횡단 금지시설 설치를 확대한다. 센서 감지로 무단횡단 시 경고음이 나오는 보행신호 음성안내 보조장치를 시범 운영한다. 올해 안으로 전체 중앙버스전용차로 정류소에 무단횡단금지시설을 설치한다.
시는 교통사고 전조현상인 과속·급출발·급정지 등 위험운전행동과 교통사고 상관관계도 분석했다. 이를 기반으로 신사역·논현역·강남역·뱅뱅사거리·회현사거리·건대입구역 등을 교통사고 다발지점으로 지정했다.
강진동 서울시 교통운영과장은 “각종 빅데이터를 시공간적으로 분석, 과학적 대책을 수립했다”며 “시설개선, 교육, 홍보 등 교통사고 줄이기 대책을 철저히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신혜권기자 hksh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