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 미래모임]"IoT 통한 초연결사회, 정책·비즈니스적 근본고민 필요"

올해 처음으로 열린 정보통신의 미래를 생각하는 모임(회장 임춘성)에서는 ‘초연결사회’를 주제로 열띤 패널 발표와 질문답변 시간이 이어졌다. 참석자들은 초연결사회 기반 기술인 사물인터넷에 대해 정책적·비즈니스적인 근본 고민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이명호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부원장은 초연결 사회를 가기 위한 ‘정책방향’을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와 민간 중 누가 주도할 것인지,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인프라 가운데 무엇을 먼저 구축해야 할지를 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정하지 않으면 사물인터넷(IoT) 산업을 둘러싸고 산업 간 대립이 심화될 것이라는 게 이 부원장 예측이다. 그는 주파수와 인터넷 주소, 보안, 망중립성 등 IoT를 둘러싼 이슈에 대해서도 선제적 해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진단했다.

박정은 한국정보화진흥원(NIA) 미래전략센터장은 미래창조과학부를 중심으로 정부가 초연결사회 현실화를 위한 구체적 정책을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박 센터장은 이날 ‘인간 중심의 초연결 창조사회 실현:미래 대한민국 정보화 비전’이라는 자료를 배포하고 초연결사회 중심에 결국 ‘인간’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센터장은 “빅러닝, 자기진화 등 초연결사회에서는 기술에 의한 상황인식, 사전대응 등이 가능해지는데 이 기술이 누구를 위한 것인지 고민하고 있다”면서 “결국 사람과 사람을 잇는 정보통신기술(ICT)이 돼야 한다는 비전을 가지고 정책을 마련 중”이라고 말했다.

최용호 유비쿼스 부사장은 “하원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창의미래연구소 책임연구원이 강조한 초연결사회, 즉 ‘디지털 행성’은 이미 우리 주변에 와 있다”면서 “이미 수많은 IoT 단말기와 센서가 보급되고 있는 만큼 이를 활용한 사업기회를 찾는 노력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질문답변 시간에는 초연결사회의 필요성에 대한 근본적 물음이 주로 제기됐다.

유승삼 ICTK 부회장은 “최근 열린 미국 소비자가전쇼(CES)에서도 ‘연결’만을 강조했을 뿐 왜 연결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언급이 없었다”면서 “IoT를 하면 가격혁명이 일어난다든지 하는 비즈니스적 관점에서 더 고민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 밖에 초연결사회를 추진하는 정부 조직을 일원화하고 추진 인력에 대한 인사이동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김용주기자 kyj@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