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공동 연구진이 심혈관 질환을 진단하는 반창고 형태의 소자를 개발했다. 심혈관 질환 환자의 모니터링과 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방창현 성균관대 화학공학부 교수팀과 제난 바오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팀은 공동연구를 통해 손목이나 목에 반창고처럼 붙이는 방식으로 미세맥파를 측정하는 소자를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411/628873_20141124150535_434_0001.jpg)
이 소자는 곤충 더듬이나 소장 융털 같은 미세 섬모구조를 모사한 것으로 고성능 음파측정 장비로만 잡아내던 미세맥파를 측정한다. 소자는 피부에 부착된 상태에서 맥박을 짚는 혈관인 ‘노동맥’과 뇌에서 심장으로 되돌아가는 혈관인 ‘경정맥’을 모니터링하고,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한다. 특히 기존 혈압 측정기로 측정할 수 없는 미세한 목 부분의 경정맥파를 측정할 수 있어 주목된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인체 맥박과 호흡, 활동정보 등을 측정하는 웨어러블 소자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방창현 교수는 “기존 스마트 웨어러블 소자를 비교적 간단한 형태로 경제적으로 제작해 위급한 심혈관 질환에 대응할 수 있다”며 “향후 맥파, 호흡 및 활동 등 생체 물리 신호를 이용하는 신개념 IT 기술, 감성 공학, 로봇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재료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트 머티리얼즈(Advanced Materials)’ 10월 30일자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
권건호기자 wingh1@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