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소기업이 창조경제를 이끄는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 그동안 공공연구기관은 주로 기업이 수행하기 어려운 R&D에 집중했다. 하지만 지금의 R&D는 기업 기술이전을 통한 성공적 상용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연구소기업은 지난 2005년 제정된 연구개발특구법이 근간이다. 현재는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이 주관해 기업설립을 지원하고 있다. 대구지역 연구개발특구에는 지난해를 기점으로 연구소기업이 폭발적으로 늘었다. 산학연 연계의 모델이자 창조경제 첨병으로 떠오른 대구지역 연구소기업을 연재한다.
연구소기업은 공공연구기관 기술의 직접 사업화를 위해 자본금의 20% 이상을 출자해 연구개발특구안에 설립하는 기업이다.
국립연구기관과 정부출연연, 학교, 전문생산기술연구소 등 공공연구기관과 산학협력기술지주사, 신기술창업전문회사가 설립주체다. 연구소기업은 설립 단계에서 마케팅까지 다양한 지원을 받는다. 수요기술탐색과 기획컨설팅, 기술가치평가 지원 등이다.
법인세와 소득세를 3년간 100%, 재산세도 7년간 100% 감면 받는다. 취득세와 등록세 면제 등의 세제혜택을 받는다. 또 안정적인 성장단계로 육성하기 위해 연간 최대 3억원 내외 기술상용화 및 마케팅 자금을 지원받는다.
이 같은 혜택에 힘입어 대구연구개발특구에는 2011년 이후 지금까지 총 18개의 연구소기업이 생겼다. 2011년과 2012년엔 각각 1개씩, 2013년엔 3개가 설립됐고, 올 들어 무려 13개가 설립됐다. 다음 달이면 2개가 더 설립돼 연구소기업은 총 20개로 늘어날 계획이다. 대구연구개발특구는 내년에만 모두 16개를 더 설립한다는 목표다.
출자기관도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경북대기술지주회사, 한국로봇융합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전북지역대학연합기술지주 등 다양하다.
[인터뷰] 배용국 대구연구개발특구 본부장
“공공기술 출자를 통한 새로운 창업모델인 연구소기업은 일반 창업에 비해 생존율이 매우 높습니다.”
배용국 대구연구개발특구 본부장은 “연구소기업 생존율은 3년차를 기준으로 77%수준으로 일반 창업기업(55%)보다 높다”고 말했다.
배 본부장은 지역에 연구소기업 창업이 특히 많은 이유에 대해 “전통제조기업이 공공기술을 활용 새로운 성장 모멘텀을 확보하도록 적극 지원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는 특히 “이노비즈협회 등 기업단체의 방문과 사업설명회, 전문가 컨설팅 등을 통해 기업 수요를 파악하고, 연구소기업 추진 TF팀을 구성해 기술매칭에서 기술가치평가, 기획컨설팅까지 모든 과정을 지원한 것이 주효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대구특구 내 연구소기업의 특징에 대해 모기업과 공공연구기관이 합작해 만든 합작투자형 연구소기업의 비율이 70%”라며 “이는 기존기업 기술 출자형이나 신규 창업형에 비해 매출과 고용, 생존율에서 월등히 앞선다”고 강조했다.
배 본부장은 “이제 설립된 연구소기업의 질적인 성장에 집중할 때”라며 “초기 사업화단계에서 ‘죽음의 계곡(데드 밸리)’을 극복할 수 있도록 특구지원사업 연계는 물론이고 특구펀드, 벤처캐피털 등 다양한 기술금융연계 등 지원사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대구=정재훈기자 jhoon@etnews.com